영남대 총학생회는 9일 교내 중앙도서관 잎에서 박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일우 기자
박근혜 대통령이 이사장을 지낸 영남대 총학생회가 박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섰다.
영남대 총학생회는 9일 오후 4시 교내 중앙도서관 앞에서 시국선언 기자회견을 열어 △박근혜 대통령 하야와 철저한 수사 △정경유착에 공조한 재벌기업 수사 △최순실 게이트 실체 규명과 부당한 재산 몰수 △국민을 우롱한 여당 지도부 사퇴 △무능과 분열의 야당 각성 등 다섯 가지를 요구했다. 대구·경북에서는 지난달 28일 경북대 총학생회가 시국선언을 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모두 10개 대학 학생들이 시국선언을 했다.
영남대 총학생회는 시국선언문에서 야당의 각성을 촉구하는 이유에 대해 “현재의 더불어민주당, 국민의당 두 거대 야당은 한계가 드러나고 있다. 이번 사태를 정치적 계산에 의해서만 판단하여 사상 초유의 국정 붕괴 상황을 신속히 수습하지 못하였고, 이해관계 속에 분열했으며, 대응 또한 무능했다”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1980년 4월부터 영남대 학교법인 영남학원 이사장과 이사를 하며 영남대를 실질적으로 관리했다. 부정입학과 교비 횡령 등 학내 비리 사건이 터져 물러났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는 2009년 6월 박 대통령에게 영남학원 이사 4명(전체 7명)의 추천권을 다시 줬다. 이후 영남대 총학생회와 교수회는 정치적·사회적 문제에 대해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왔다. 총학생회에 앞서 영남대 학생들은 지난달 31일 박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했고 교수들도 교수회가 나서지 않자 지난 8일 먼저 시국선언을 했다.
부산외국어대 교수 26명도 이날 시국선언을 발표해 박근혜 대통령 하야를 전제로 하는 거국 중립내각 구성을 촉구했다. 교수들은 시국선언문에서 “경악을 금치 못할 국기 문란 사태가 일어났는데도 박 대통령은 두 차례 사과문 발표를 통해 변명과 꼬리 자르기로 일관하고 있다. 현 시국을 해결하기 위해 박 대통령은 하야를 선언해야 한다. 다음으로 국회가 거국적 중립내각을 구성해 대통령의 실질 권한을 위임받아 국정을 주도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교수들은 또 일부에서 주장하는 대통령의 2선 후퇴와 관련해 “사람이 실재하고 있는데 2선으로 후퇴해 청와대 안에서 투명인간으로 지내라는 말이냐”며 반대했다.
경남에서도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이 줄을 이었다. 밀양 765㎸ 송전탑 건설에 반대하는 밀양주민 261명은 경남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최순실 사태는 정말 큰 국가재앙을 예고하는 ‘예령’에 불과하다”며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문을 발표했다.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도 박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경남대생 1182명은 교내 10·18광장에서 “더 이상 속지 않고, 더 이상 가만히 있지 않겠다”며 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경남도청 들머리에선 지역 여성단체들과 경남청년유니온이 잇따라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진상 규명과 박 대통령 하야를 촉구하는 시국선언을 했다. 김일우 김광수 최상원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