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국정화 반대 원주시민행동이 24일 원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국정 역사교과서 공개 계획 철회와 폐기를 촉구했다. 원주시민연대 제공
정부가 오는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공개를 강행하려 하자 강원 원주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사 국정화 반대 원주시민행동은 24일 오전 강원 원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부는 국정 역사교과서 공개 계획을 즉각 철회하고, 국정 역사교과서도 폐기하라”고 촉구했다. 한국사 국정화 반대 원주시민행동은 국정 역사교과서에 반대하는 11개 원주지역 시민사회단체 등이 지난해 11월 꾸렸다.
원주시민행동은 “전국 102개 대학 역사·역사교육 관련 교수 561명이 반대하고 전교조뿐 아니라 한국교총까지 반대하는 교과서가 과연 좌파 교과서이겠는가? 국정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갈등은 보수와 진보의 이념 대립이 아니라 다양성 대 획일성, 역사적 진실 대 권력의 탐욕 간의 갈등”이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오는 28일 국정 역사교과서 시안을 공개한 뒤 12월 말까지 의견을 수렴하고 내년 1월께 최종본을 확정해 전국 6000여개 중·고교에 배포할 계획이다. 원주시민행동은 시안이 공개되면 의견 수렴 기간 국정 역사교과서가 학교 현장에 배포되지 않도록 국정 역사교과서의 오류 등에 대해서도 본격적으로 문제 제기할 참이다. 원주시민행동은 결성 이후 국정화 반대 시민서명 운동과 강원지역 역사교사와의 토론회, 국정 역사교과서 반대 캠페인 등의 활동을 펴왔다.
박정원 한국사 국정화 반대 원주시민행동 상임대표는 “역사교과서는 정쟁의 대상이 될 수 없고 수시로 바뀌는 정권에 의해 역사 해석과 교육이 독점돼서도 안 된다. 교과서 국정화는 교육의 자주성과 전문성,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한 헌법 정신과도 어긋나는 비민주적 제도다. 문명 세계의 보편적 기준이나 추세와도 뒤떨어진다”고 말했다. 원주/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