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환경단체·부산시 “낙동강 생태계 복원 위해 하굿둑 수문 개방 필요”
낙동강하구기수생태계복원협의회는 10일 ‘낙동강 하굿둑 개방 부산 시민 걷기대회’를 연다. 이 협의회는 낙동강 하굿둑 수문을 열어 강과 바다를 만나게 해 생태계를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는 단체이다.
부산 시민 걷기대회 구간은 사상구 삼락동의 삼락생태공원에서 출발해 낙동대교와 강서구의 맥도생태공원을 거쳐 사하구의 을숙도까지 10.7㎞이다. 맥도생태공원에서는 공연 행사도 마련됐다.
하굿둑 수문 개방 요구는 2012년 부산의 환경단체를 중심으로 본격화됐다. 서병수 부산시장도 지난해 9월 “2017년부터 하굿둑 수문을 단계적으로 개방하고, 2025년까지 완전 개방이 목표”라고 밝혔다.
하지만, 하굿둑 근처의 농민들은 하굿둑 수문이 열려 바닷물이 들어오면 염분 때문에 농사를 지을 수 없어 반대하고 있다. 경남도도 이런 이유로 하굿둑 수문 개방을 반대하고 있다. 국가하천을 관리하는 국토교통부도 “바닷물이 낙동강 하구를 통해 올라오면 염분 등으로 수질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다른 지자체와 협의해 결정할 사안이다. 정부 차원에서 접근이 필요한 일”이라며 하굿둑 수문 개방에 소극적인 모습이다.
부산시는 하굿둑 수문을 열어보고 변화를 확인한 뒤 결정하자고 주장하고 있다. 또 수문을 열었을 때 상류로 올라올 가능성이 있는 바닷물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덕산정수장에 염분제거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부산시는 낙동강 근처 10곳에 17개의 염분 실시간 관측 장비를 설치했다. 부산시 하천 살리기 추진단 관계자는 “관측 장비 설치 등은 수문 일부를 열어 올라오는 바닷물의 염분이 어떤 영향을 끼칠 것인지 확인해보고 판단하자는 뜻”이라며 “하굿둑 수문 개방은 낙동강의 건강한 생태계 복원을 위한 것이다. 국토부와 경남도, 국회의원, 환경단체와 협력해 하굿둑 수문 개방 문제를 풀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