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소속 단체장들이 13일 오후 국회 귀빈식당에서 간담회를 열고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판단 등을 요구했다. 강원도청 제공
국회 탄핵소추안 통과로 박근혜 대통령의 직무가 정지되자 전국 시도지사들이 국정공백 최소화를 위해 헌법재판소에 신속한 판단을 해달라고 요구했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협의회)는 13일 오후 국회에서 긴급간담회를 열어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17명의 시·도지사는 조류인플루엔자 피해 최소화와 일자리 창출, 재난재해 공동대응 등 시급한 민생현안 해결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구체적으로 △국정 공백 최소화를 위한 헌법재판소의 신속한 판단 촉구 △국가의 혁신적 개조를 위한 국회의 개헌특위에 시도지사협의회 요구 반영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과의 긴급 현안회의 등을 요구했다. 협의회는 이 같은 요구를 구체화하기 위해 자체 태스크포스팀을 꾸리기로 했다.
최문순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장(강원지사)은 “전국 시도지사들은 대통령 탄핵이라는 국가적 위기 상황이 엄중하다는데 뜻을 함께하고 있다. 대통령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불확실성과 국정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헌법재판소가 신속한 판단을 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번 촛불 시위를 통해 헌정 유린에 대한 분노와 함께 낡은 체제를 허물고 새로운 정치질서를 만들어내자는 열망이 존재한다는 것을 느꼈다. 국정이 마비된 상황에서 시도지사의 역할이 크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박근혜·최순실 게이트를 만든 낡은 국가 권력질서를 국민은 개혁하길 원한다. 대한민국은 전국 시·군·구 그리고 17개 시·도가 함께 이끄는 나라로 가야 한다. 개헌특위 논의에 지방자치 권한을 확대하는 내용이 반영돼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는 지난 9일에도 대구에서 임시총회를 열어 대구 서문시장 화재피해 상가 복구와 성금모금 방안 등을 논의하는 등 국정혼란 속에서 지방정부 차원의 대응 방안을 찾고 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