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 반대·해안침식 우려로 3년간 착공 못해
이달 말 ‘재연장’ 못 받으면 사업 자체 무산
“미세먼지 특별대책 마련한 정부가 제한해야”
이달 말 ‘재연장’ 못 받으면 사업 자체 무산
“미세먼지 특별대책 마련한 정부가 제한해야”
정부가 미세먼지 줄이기 대책으로 ‘탈 석탄’ 방침을 밝힌 가운데 3년 넘게 착공도 못 한 강원 삼척 포스파워 화력발전소 인허가 연장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환경운동연합은 21일 성명을 내어 산업통상자원부에 삼척 포스파워 석탄화력발전소 사업허가를 취소하라고 요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포스파워 사업은 시내 인구밀집 지역과 가까워 심각한 대기오염 피해와 항만 건설로 인한 해안침식 우려가 있지만 충분한 보완대책이 마련되지 않았다. 사업 허가 기간도 이미 한 차례 연장됐다”고 지적했다.
이지언 환경운동연합 에너지기후팀장은 “산자부는 지난 7월 미세먼지 특별대책에서 신규 석탄발전소 진입을 원칙적으로 제한한다고 밝혔다. 이번 인허가 연장 여부는 미세먼지 특별대책을 마련한 정부 정책의 책임성과 신뢰성을 가르는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의 계열사인 포스파워는 삼척 적노동 동양시멘트 광산 터에 1000㎿급 2기 규모의 화력발전소를 짓겠다며 2013년 7월 발전사업 인허가를 취득했다. 하지만 주민 반대와 발전 연료를 들여올 하역부두 건설에 따른 해안침식 문제 탓에 3년이 넘도록 착공을 못 하고 있다. 결국 허가 기간이 끝난 지난 7월 한 차례 허가 기간을 연장받았지만 이달 말까지 재연장을 승인받지 못하면 사업 자체가 무산된다.
우현각 삼척시번영회장은 “발전소 건설 예정지와 시내 거리가 3㎞에 불과하다. 발전소가 건설되면 주민건강과 재산상 불이익 등이 우려된다. 지역경제를 생각할 때 발전소 건설은 필요하지만 시내에서 먼 외곽으로 터를 이전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정당한 사유가 있으면 연장할 수 있다는 규정은 있다. 하지만 과연 정당한 사유가 있는지, 아니면 관련 법에 따라 취소하는 것이 맞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해 이달 말까지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삼척/박수혁 기자 psh@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