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애초 새만금종합개발계획에 풍력단지 빠져있어…대선후보에 로드맵 요구할 것”
새만금개발청, “신재생에너지는 정부의 정책…전북 구조물 업체가 제작맡도록 명문화”
이같은 견해가 송하진 전북지사와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의 대립에서 비롯했다는 시각도
새만금개발청, “신재생에너지는 정부의 정책…전북 구조물 업체가 제작맡도록 명문화”
이같은 견해가 송하진 전북지사와 이병국 새만금개발청장의 대립에서 비롯했다는 시각도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이 대규모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사업을 놓고 큰 견해차를 보이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은 지난 6일 새만금해상풍력㈜과 군산시 베스트웨스턴 호텔에서 ‘해상풍력 발전사업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모두 4400억원을 투입하는 이 사업은 한전KPS㈜, 미래에셋 등이 ‘새만금 해상풍력발전주식회사’를 설립해 4월부터 새만금방조제(3~4호) 근처에 국내 최대 규모(99.2㎿급) 발전단지를 2018년까지 조성하려는 것이다. 모두 28기를 설치해 연간 6만2천가구에 전기를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그러나 이날 체결식에 전북도와 군산시가 불참했다. 전북도는 “막대한 국가예산(22조)을 투입해 개발중인 새만금에 풍력발전단지가 애초 새만금종합개발계획(MP)에 포함되지 않았고, 단순 전력생산 시설로서 명품 새만금개발에 오히려 방해가 될 것이다. 민간업체가 해당 터를 장기간(최소 30년), 대규모로 점용해 새만금 매립과 수변공간 활용에 제약도 따른다”고 밝혔다.
송하진 전북지사는 9일 새해 기자회견에서 “원래 없던 특정업체가 갑자기 사업에 뛰어들었는데 우리는 사업추진 주체가 누구인지 정확히 모른다. 냉철히 경제성과를 분석해 시작해도 늦지 않다. 이 문제로 새만금청장을 한번도 만난 적이 없다”고 말했다. 송 지사는 “국가사업인 새만금에 방향을 결정해야 한다. 대선후보에게 정확한 새만금 로드맵을 요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새만금개발청은 “신재생에너지는 정부가 적극 추진하는 정책으로 민간기업 투자 등으로 새만금개발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고 반박했다. 새만금청은 “풍력발전기 하부구조물 제작을 전북지역 업체가 맡도록 합의각서에 명문화하는 등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방침으로 어려움에 처한 전북의 처지를 충분히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기관의 상반된 견해는 송 지사와 이병국 새만금청장의 대립에서 비롯했다는 시각도 있다. 송 지사는 지난해 11월 “국무총리실 새만금사업추진기획단장을 역임한 이 청장은 7년이나 새만금 관련 일을 하고 있지만 전북에 이익이 되는 새만금사업에 소극적”이라고 비판했다. 새만금청 관계자는 “두 기관이 협력해 새만금개발에 속도를 내야 하는 상황에서 청장에 대한 무책임한 인신공격성 발언이 나와 안타깝다. 한마디로 어처구니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