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진상규명과 관련자 처벌 촉구
박근혜 정권 퇴진 부산운동본부(부산운동본부)는 10일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정치에 개입하고 정권유지에 활용되고 있는 국가정보원을 개혁하지 않는다면 해체만이 답”이라고 주장했다.
부산운동본부는 기자회견문에서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합병과 관련해 국민연금 내부 동향 파악 등은 법에서 규정한 국정원의 직무 범위를 벗어나는 위법 행위다. 박영수 특별검사팀과 국회는 진상을 철저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했다.
부산운동본부는 “국정농단 사태와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의 업무일지를 통해 국정원은 여전히 국내정치에 광범위하게 개입한 사실이 확인되고 있다. 이번 국정농단과 국정원은 무관하지 않다. 박근혜 대통령의 정권유지와 국정농단에 국정원이 깊숙이 개입돼 있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또 부산운동본부는 “국정원을 개혁하지 않는다면 국회가 아닌 국민이, 정치권이 아닌 촛불이 가만있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부산국제영화제를 지키는 시민문화연대, 부산민예총·부산영화인연대, 부산참여자치시민연대, 부산시민운동단체연대 등 시민사회단체도 이날 부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파문의 진상규명과 관련자를 처벌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는 21세기 박정희식 공안정치를 불러내는 시대착오적 폭거이다. 사상·표현·예술의 자유를 부정하는 국기 문란이자 중대범죄다. 세월호 참사를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다이빙벨>의 부산국제영화제 상영을 둘러싼 부산시의 외압도 이와 같은 맥락”이라고 짚었다.
이어 이들 단체는 “부산국제영화제 사태 중심에는 서병수 부산시장이 자리하고 있다. 서 시장도 특검의 조사대상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다이빙벨> 논란은 2014년 9월 서 시장이 <다이빙벨> 상영 중단을 요구하면서 시작됐다. 부산국제영화제 쪽은 서 시장의 상영 중단 요구에도 <다이빙벨>을 상영했는데, 이후 감사원이 감사를 통해 이용관 전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 등을 검찰에 고발하라고 부산시에 권고했다. 부산시는 이 전 위원장을 검찰에 고발했고, 검찰은 업무상 횡령 혐의로 이 전 위원장을 불구속 기소했다. 부산지법은 지난해 11월 이 전 위원장에게 징역 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이 전 집행위원장은 항소했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