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청 지역 24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핵 재처리 실험 저지 30㎞ 연대’가 17일 오전 대전 유성구 덕진동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충청 지역 시민단체들이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실험을 막으려고 공동 대응에 나섰다.
대전환경운동연합, 세종참여연대, 공주민주단체협의회, 핵 없는 사회를 위한 충북행동 등 충청 지역 24개 시민단체가 참여한 ‘핵 재처리 실험 저지 30㎞ 연대’(30㎞ 연대)는 17일 오전 대전 유성구 덕진동의 한국원자력연구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대전시민의 지속적인 문제 제기에도 원자력연구원은 계획대로 사용후핵연료를 이용한 건식재처리 실험(파이로프로세싱)을 강행하려 한다. 이에 대전을 비롯해 원자력연구원 반경 30㎞ 안에 있는 세종, 충남, 충북 지역의 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핵 재처리 실험 저지 30㎞ 연대’를 공식 출범한다”고 밝혔다.
사용후핵연료(고준위방사성폐기물)는 발전용으로 타고 남은 핵연료를 원자로에서 꺼낸 것으로, 강한 방사선을 방출해 생명체에 치명적이다. 파이로프로세싱은 전기화학적인 처리로 사용후핵연료에서 우라늄을 추출하는 기술이다. 2015년 11월 체결한 ‘한미 원자력 신협정’에 따라 파이로프로세싱 실험의 전반부 과정을 한국에서 할 수 있게 됐다. 원자력연구원은 원자력 발전소에서 옮겨와 보관 중인 3t가량의 사용후핵연료를 이용해 오는 7월부터 이 실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30㎞ 연대’는 “(실험을 위해) 사용후핵연료의 피복을 벗기는 순간 방사성 물질이 세상 밖으로 나온다. 이중삼중 장치를 해도 100% 포집은 불가능하고, 복잡한 처리 과정에서 많은 방사성폐기물이 만들어진다”고 주장했다. 30㎞는 국제 원자력 기구가 권고한 방사선비상계획구역 범위로, 방사선 누출 사고에 대비해 방호방재대책을 수립하는 통상적인 기준점이다.
이들은 “사용후핵연료 재처리 실험은 대전만의 문제가 아니다. 만약 사고가 나면 적어도 반경 30㎞ 안의 주민들이 위험에 빠지게 된다. 연구원 반경 30㎞ 안에 있는 대전, 세종, 공주, 논산, 청주, 옥천 등의 주민에게 재처리 실험의 진실을 알리고, 실험을 막기 위한 운동을 펼치겠다“고 강조했다.
글·사진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