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국민의당 최인정 의원이 23일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전북도의회 제공
현대중공업이 일감 부족 등을 이유로 군산조선소의 가동 중단 방침을 공식화해 주민 반발이 커지고 있다.
전북도는 “24일 진홍 도 정무부지사와 문동신 군산시장이 현대중공업 울산 본사를 방문해 군산조선소 존치를 요구하는 ‘범전북도민 서명운동 서명부’를 전달할 방침”이라고 23일 밝혔다. 25일에는 정몽준 아산정책연구원 이사장의 서울 평창동 자택 주변에서 시민 5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 1인 릴레이 시위 출정식을 연다. 먼저 문 시장이 1인 시위를 한다. 이를 시작으로 다음달 1일부터 28일까지 정 이사장 자택 앞에서 1인 시위를 이어가고 그 뒤에도 1인 시위를 계속할 계획이다. 다음달 14일에는 군산시 롯데마트 앞에서 군산조선소 존치를 위한 범도민 총궐기대회를 열 예정이다.
국민의당 소속 전북도의회 최인정·양용호 의원은 23일 세종시 산업통상자원부 앞에서 “정부는 군산조선소 경제파급 효과를 고려하고 독을 존치시키기 위해 정부 발주 물량을 우선 배정해달라”고 촉구했다.
앞서 지난 20일 최길선 현대중공업 회장은 군산시청을 방문해 송하진 전북지사 등을 만난 자리에서 “조선업 일감 수주의 어려움과 회사 위기 극복을 위해 군산조선소의 가동을 오는 6월 이후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세계적으로 선박 발주 물량이 15% 정도 줄어 일을 못 할 처지로, 회사의 위기 돌파를 위해 어쩔 수가 없다. 울산의 독 8개 중 3개가 비게 되고, 군산조선소도 지금의 3800여명을 유지하기 어려워 6월 이후에는 시설 관리·유지를 위해 최소 인력만 남는다”고 설명했다.
송 지사는 “경제논리보다 인간이 중요하다. 고통을 함께하는 인간적인 모습의 기업을 보고 싶다”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양쪽은 비공개 면담에서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좋은 방안을 찾도록 노력하자”는 원론적인 결론만 도출했다.
군산지역 경제의 24%를 차지하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의 가동 중단 공식화로 그동안 근근이 버텨온 협력업체와 조선 기자재업체의 줄도산이 우려된다. 지난해 4월 군산조선소 사내외 협력업체는 86곳, 직원은 5250명이었다. 그러나 일감 부족으로 12월엔 노동자는 3800여명, 사내·외협력업체는 70여곳까지 줄었다. 이마저도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이 현실화하면 대량실직과 줄도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