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은·정읍 이어 세번째…간이검사서 양성반응 살처분 나서
충북 보은, 전북 정읍에 이어 경기도 연천에서 3번째 구제역 의심신고가 접수됐다.
경기도는 8일 오전 10시40분께 연천군 군남면의 젖소 사육농가에서 10마리가 침흘림, 수포 등의 증상을 보인다는 신고가 접수돼 간이검사 결과 양성반응이 나왔다고 밝혔다. 해당 농가에서는 모두 114마리의 젖소를 키우고 있다. 경기도 관계자는 “간이검사를 한 3마리 모두 양성반응이 나와 농림축산검역본부에 정밀검사를 의뢰했다. 오후에 해당 농가에서 사육 중인 젖소를 모두 살처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해당 농가에서 반경 3㎞ 이내의 소·돼지·염소 등 우제류 가축 사육농가에 대한 이동제한 조처를 했다. 살처분 대상인 반경 500m 안에 우제류 가축 사육농가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구제역은 발병하면 입과 발굽 주변에 물집이 생기는 가축 급성 전염병으로, 치사율이 5∼55%로 비교적 높다.
입안에 물집이 생기면 통증 때문에 사료를 먹지 못하며 발굽에 물집이 생기면서 잘 일어서지도 못한다.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 감염되기 때문에 전염성이 매우 강하다. 경기도에서는 2015년 4월 구제역이 마지막 발병이다. 당시 2014년 12월부터 5개월간 8개 시·군에서 구제역이 발생, 모두 56농가 4만616마리의 우제류 가축이 살처분됐다.
앞서 2010∼2011년 겨울에는 경기지역 19개 시·군에서 구제역이 발생해 2390농가 174만2694마리 소와 돼지가 땅 속에 묻히는 등 최악의 구제역 사태를 겪었다. 구제역이 발생한 연천에는 588농가가 13만2천여마리의 우제류 가축을 사육 중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