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지역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에 사는 어린이들이 건강영향 조사를 받는다.
충남도는 8일 환경보건위원회를 열어 ‘2차 환경보건종합계획안’을 심의해 확정했다고 밝혔다. 계획안에는 화력발전소 주변 어린이 건강영향 조사와 학교 주변 대기 오염 실태 조사, 송전선로 주변 역학 연구, 빛 공해에 의한 건강 피해 예방 등 29개 중점 과제가 담겼다.
이 계획안에 따라 내년부터 보령·태안·당진·서천 등 충남 4개 지역의 석탄 화력발전소 주변에 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건강영향 추적 조사가 이뤄진다. 대상 어린이를 뽑아 생활 주변 환경을 조사하고, 몸 안에 쌓인 유해물질을 측정한다. 2단계로는 2020년까지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장기 추적 기반을 구축할 계획이다.
학교 주변의 대기 오염 실태를 조사한 ‘학교 오염도 지도’도 만든다. 산업단지나 교통 밀집지 등에 있는 학교를 모니터링해 오염도 지도를 만든 뒤 중점 관리 학교를 정할 방침이다.
주민 건강 문제가 불거지고 있는 송전선로 주변 지역에 대한 역학조사도 진행돼, 송전선로에서 나오는 극저주파와 암 발생의 연관성 등이 밝혀질지 주목된다.
도는 또 인공조명에 의한 빛 공해 방지 조례 제정도 추진할 참이다. 이 밖에 유해중금속 노출 경로 조사와 저감 방안, 라돈에 의한 주민 건강 피해 예방·관리, 자연 발생 석면 지질대를 중심으로 한 건강 피해 예방·관리 등도 이번 계획에 담아 진행하기로 했다.
남궁영 충남도 행정부지사는 “충남에는 석탄 화력발전소, 대산석유화학단지, 폐석면광산 등 도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가 곳곳에 있다. 이런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환경보건정책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해 충남도 차원의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포괄적으로 정리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