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 군공항 이전 발표에 화성시 “효력정지가처분 낼 터” 반발
‘기존 공항’ 수원시는 “화성시와 최대한 협의…5111억원 지원”
남경필 지사 “이전 순조롭게 조정 나설 것”
‘기존 공항’ 수원시는 “화성시와 최대한 협의…5111억원 지원”
남경필 지사 “이전 순조롭게 조정 나설 것”
국방부가 16일 수원 군공항(10전투비행단) 예비 이전 후보지로 화성시 간척지인 화옹지구를 발표하자, 수원시와 화성시의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비행장이 떠날 수원시는 이전 예정지역인 화성시에 5111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나섰지만, 비행장이 옮겨올 화성시는 “돈 갖고 장난하냐”며 국방부 결정에 대한 효력정지가처분 신청을 내기로 했다.
도태호 수원시 제2부시장은 17일 오후 긴급 브리핑을 통해 “수원 군공항 예비이전 후보지로 선정된 화성시의 군공항 주변 지원사업비로 5111억원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도 부시장은 “수원 군공항 이전 사업은 화성시, 지역주민과의 협의 없이는 불가능한 사업으로 수원시는 화성시·지역주민과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최대한 협의를 통해 수원군공항이 성공적으로 이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수원군공항 터와 군공항 주변 지역인 화성 병점·발안지역 발전 기본구상안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용역을 이달 안에 착수키로 했다.
수원시와 달리 사전에 국방부의 이전 결정을 알지 못했던 화성시는 그야말로 ‘멘붕 상태’다. 화성시 관계자는 “국방부 결정과 관련해 사전 통보받은 것은 없다. 이미 국방부에 반대 입장을 서면으로 통보했는데 언론으로부터 이전 문의가 온 뒤에야 화성 이전 사실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한마디로 뒤통수를 맞았다는 설명이다. 이 관계자는 “화성시가 구상 중인 화옹지구 등 서해안 벨트를 연결한 관광지대가 조성되면 50조원을 벌어들일 수 있는데 수원시가 5천억원으로 화성시에 선심을 쓰겠다는 게 말이 되냐”며 분통을 터뜨렸다.
화성시는 “군공항이전법에 따르면 지자체와 협의가 없으면 예비이전후보지도 선정할 수 없는 데다 국방부의 이전 결정은 이미 매향리 미 공군 폭격장으로 55년간 피해를 받았던 화성시민들에게 또다시 고통을 주는 행위다”며 국방부 결정에 대한 효력정지가처분신청을 내기로 했다. 화성시는 이날 15명으로 이뤄진 수원 군공항 이전대응 대책본부를 긴급 구성했다. 채인석 화성시장은 오는 20일 오전 화성시청에서 수원 군공항 이전과 관련한 긴급 브리핑을 열 예정이다.
화성시의회도 이날 시의원 18명 전원이 기자회견을 열고 군공항 이전 반대 특별위원회를 구성했다. 이들 의원은 “국방부가 예비이전 후보지로 화옹지구를 선정한 것에 반대하며 이전계획의 즉각 중단”을 요구했다.
수원 군공항 이전을 놓고 수원시와 화성시가 대립하는 가운데 경기도는 수원 군공항 이전 티에프팀을 구성하기로 했다. 남경필 경기지사는 이날 오전 주간정책회의에서 “(군 공항 이전과 관련해) 여러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있어 도에서 해야 할 일이 많을 것”이라며 이같이 지시했다. 그는 “관련 기관, 해당 시 등과 긴밀히 협력해 이전 문제가 잘 진행될 수 있도록 해 달라”고 덧붙였다. 남 지사는 16일 국방부가 수원 군 공항 예비 이전후보지로 화성 화옹지구를 선정했다고 발표하자 “국가 안보적 차원에서 검토된 국방부의 결정을 존중한다”며 “수원 군 공항 이전으로 공군 현대화와 군 전력 극대화가 이뤄지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사진 수원시 제공
경기 수원시 세류동과 화성시 황계동 등에 걸쳐 있는 수원 군공항에서 공군 전투기들이 이륙하고 있다.
국방부가 수원 군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로 발표한 경기 화성시 화옹호 일대 간척지구의 모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