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울산지부와 현대중공업지부, 현대자동차지부 등 세 지부는 21일 울산시청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 회사 쪽에 분사 추진을 위한 임시주총을 유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금속노조와 교섭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울산 현대중공업이 조선산업 위기 극복과 경쟁력 강화를 이유로 대대적인 사업분할(분사)을 추진해 노조는 물론 지역사회와 갈등을 빚고 있다.
현대중공업은 오는 4월 말까지 전체 사업 가운데 조선·해양·엔진 부문을 뺀 나머지 △전기전자 △건설장비 △로봇 등 3개 부문을 각기 별도 회사로 분리하는 내용의 안건을 오는 27일 임시 주주총회를 열어 처리할 계획이다. 이에 노조는 22일 오후 4시간 부분파업을 시작으로 23·24일과 27일 사흘간 전면 파업을 벌이기로 했다.
전국금속노동조합 울산지부와 현대중공업지부, 현대자동차지부는 21일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공동기자회견을 열고 “현대중은 27일 주총을 유보하고 문제 해결을 위해 금속노조와 교섭에 나서라”고 촉구했다. 금속노조 세 지부는 회견에서 “현대중 임시주총은 경영 합리화를 핑계로 정몽준 대주주의 아들 정기선에게 경영권을 물려주기 위한 것”이라며 “사업분할안이 주총을 통과하면 조합원들의 고용불안과 임금삭감, 근로조건 저하로 이어지고, 지역경제에 악영향을 끼칠 것이 자명하기에 지역사회와 강력한 연대를 통해 공동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주장했다.
백형록 현대중지부장은 “회사 쪽이 임시주총을 중단하고 성실 교섭할 의지만 보인다면 노조도 파업을 철회하고 대화에 나설 용의가 있다”며 “끝내 주총을 강행하면 금속노조 세 지부의 강력한 연대로 분사 저지투쟁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중 본사가 있는 울산 동구를 지역구로 한 김종훈 국회의원(무소속)도 앞서 20일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의 분사가 결정되면 분사되는 회사는 서울과 대구 등으로 이전하고, 인력유출도 5000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적했다.
권명호 울산 동구청장과 동구지역 시·구의원 등 6명은 20일 삭발까지 단행했다. 김기현 울산시장도 현대중을 방문해 강환구 사장 등 경영진에게 “지역 일자리 감소 최소화를 위해 적극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 울산시의회와 동구의회는 각각 지난 13일과 15일 현대중의 사업분할 반대와 분할사업장 지역 존치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동구지역 26개 단체로 꾸려진 주민대책위도 22일 현대중 분사에 반대하는 기자회견을 열 예정이다.
이에 대해 현대중공업은 반박자료를 내어 “일부 기능이 타지로 이전하지만 군산조선소 일시 중단에 따라 울산 본사 유입인구는 오히려 늘어난다”며 “사업분할은 경영권에 속하는 사안으로 단체교섭 대상이 아니고, 주주의 지분이동이 포함되지 않아 경영권 승계와도 무관하다”고 밝혔다. 글·사진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