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의회 이해숙, 양용모, 최인정(왼쪽부터) 의원이 지난 20일 교육부 앞에서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전북도의회 제공
전북도교육청이 학교총량제에 발목 잡힌 전주·군산의 신도시지역 학교 신설을 다시 추진한다.
전북교육청은 다음달 중순께 전주·군산 학교신설안을 교육부 중앙투자심사위원회에 낸다고 21일 밝혔다. 전주 지역엔 송천동 에코시티에 들어설 초등학교 1곳(42학급), 중학교 1곳(30학급), 만성지구에 중학교 1곳(24학급), 군산 지역엔 은파지구 중학교 1곳(24학급)이다. 학교신설안은 소규모 학교 통폐합 선행을 전제로 한 교육부의 학교총량제로 제동이 걸린 상태다.
신도시 입주예정자들과 통폐합대상인 옛도심 주민들의 민원에 정치인들도 나섰다. 전북도의회 양용모, 이해숙, 최인정 의원들은 지난 20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앞에서 학교총량제 철회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였다. 이들은 “교육부의 방침대로라면 개발지역 학교를 위해서는 (폐교를 해야 하는) 농어촌학교나 원도심 학교의 피해가 자명하다. 원도심지역 작은 학교를 도시개발지구로 이전하면 옛도심 공동화를 부추기고 지역 간 교육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수 전주시장은 오는 23일 유성엽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장을 찾아가 도움을 요청하기로 했다. 시는 전북교육청이 제출할 학교신설안이 통과하도록 협조해줄 것을 건의할 계획이다. 교육청 관계자는 “옛도심과 새도시 모두 피해를 최소화하고 교육부를 최대한 설득할 대안을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앞서 전주 곤지중과 덕일중 등 원도심 학교 2곳을 전주 에코시티와 만성지구로 각각 옮기는 방안이 추진됐으나 여론조사 결과 찬반이 팽팽하게 맞서 취소됐다. 에코시티는 올 12월, 만성지구는 내년 2월 입주를 시작하지만, 에코시티엔 초·중·고 6곳 중에서 초교 1곳만 허가했고, 만성지구는 초·중 2곳 중에서 초교 1곳만 승인했다. 군산 은파지구에는 초·중 2곳 중 초교 1곳만 세워졌다.
박임근 기자
pik007@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