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발전소 해체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센터가 유니스트(울산과학기술원)에 들어서 문을 열었다.
유니스트는 3일 오후 3시 정무영 총장과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연구재단 관계자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원전 해체 핵심요소기술 원천기반 연구센터’(센터장 김희령) 개소식을 열었다. 이 연구센터는 원전을 해체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작업과정의 인적 오류를 분석하고 원전 폐기물의 세슘 등 특정 방사성 물질을 선택적으로 제거해, 해체 과정의 안전성 확보와 방사능 오염 최소화를 위한 핵심기술을 개발한다. 또 원전 해체 뒤 일대 토양이나 지하수의 방사능 오염을 조사하고 감시하는 핵심기술도 연구한다….
이 연구센터는 미래부의 ‘원자력 선진기술연구센터 사업’에 선정돼 설립됐으며, 최대 5년간 미래부로부터 31억5천만원, 울산시와 울주군으로부터 10억원 등 총 41억5천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원자력 선진기술연구센터 사업에는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의 ‘방사성 폐기물 다상 복잡계면 방사화학 연구센터’와 포스텍(포항공과대)의 ‘소듐냉각고속로(SFR) 안전성 향상을 위한 혁신기술 개발 및 검증 연구센터’도 함께 선정돼, 이날 유니스트에서 공동으로 개소식을 했다.
정무영 유니스트 총장은 “전문 인력 양성부터 체계적으로 원전 해체 기술 역량을 쌓아간다면 관련 분야의 국제 선두주자가 될 것”이라며 “지역 관련 기업과 산학연 공동연구를 통해 울산이 원전 해체 시장의 메카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