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신도시 쓰레기발전소 반대 투쟁위원회가 7일 오전 충남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다이옥신이 나오는 에스아르에프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최예린 기자
충남 홍성·예산에 걸쳐 있는 내포신도시에 열병합발전소가 들어서기로 해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주민들은 발전소에서 쓸 고형연료(에스아르에프, Solid Refuse)가 환경오염을 일으킬 것이라고 주장한다. 내포신도시는 충남도청, 교육청, 경찰청 등이 대전에서 옮겨와 인구 10만명 규모의 계획도시로 조성되고 있다.
내포신도시 아파트 5곳 주민 등으로 꾸려진 ‘내포신도시 쓰레기발전소 반대 투쟁 위원회’는 7일 오전 충남도청 앞에서 집회를 열어 “주거 지역에서 불과 50m 떨어진 곳에 폐기물 고형연료를 이용한 열병합발전소가 들어선다. 고형연료를 태울 때 나오는 각종 유해 물질은 미량이라도 암과 기형아 출산 등 환경·건강 피해를 낳는다. 발전소 건설을 재검토해야 한다”고 밝혔다.
민간사업자인 내포그린에너지는 내포신도시 6만8778㎡에 열공급능력 394.4G㎈/h, 전력생산능력 97㎼규모로 열병합발전소를 건설 중이다. 2015년 최종 사업 승인을 받아 지난해 12월 엘엔지(LNG) 열전용 보일러 시설을 착공했으며, 2019년께 완공할 예정이다. 엘엔지 78%, 에스아르에프 22% 등 연료를 태워 발전·생산한 열은 내포신도시 주민 10만여명에게 공급하고, 전력은 한전에 판매할 계획이다.
내포그린에너지가 건설 중인 에스아르에프를 사용한 열병합발전소와 500세대 입주 예정인 주택단지는 직선거리로 50m 떨어져 있다. 내포신도시 쓰레기 발전소 반대 투쟁 위원회 제공
주민들은 비닐·플라스틱 등 재활용 쓰레기를 재처리해 연료로 만든 고형연료의 환경 오염 우려에 주목하고 있다. 고형연료는 태울 때 발암 물질인 다이옥신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열병합발전소는 500세대가 들어설 주택 단지와 직선거리로 50m, 9272세대가 사는 아파트 단지와 500m 떨어진 곳에 짓고 있다. 발전소 투쟁위는 “발전소가 운영되면 환경피해가 불가피하다. 도와 업체가 주민을 상대로 관련 설명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지만 충남도는 주민 편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는 태도다. 도는 2010년께 사업 계획 수립 단계에 엘엔지 발전소로 사업자를 모집했지만 지원자가 나서지 않아 불가피하게 열병합발전소로 계획을 수정해 사업자를 선정했고, 주민 설명도 여러 차례 했다고 해명했다. 원종철 충남도 내포신도시건설과 주무관은 “발전소에 저감 시설이 있고, 배출 허용량도 법정 기준치보다 10배 강화해 실제로는 환경피해가 없을 거라 판단했다. 여러 차례 주민 설명회를 열었지만 최근 입주한 주민들 중심으로 다시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100% 엘엔지 발전소를 요구한다. 이에 대해 내포그린에너지 관계자는 “내포신도시는 예상 인구가 10만명인데 LNG발전소를 운영하기에는 수익성이 아예 없다. 에너지 공급의 안정성 때문에 수익성이 어느 정도 없으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사업 승인을 받을 수 없다. 현재 상황에서 에스아르에프의 연료 사용은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