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로사항 파악해 정부와 해결 협력"
‘사드 피해’가 관광에서 수출분야까지 확산하면서 경북도가 사드 피해 사례를 접수하는 창구를 열었다.
경북도는 9일 “사드 피해로 중국 관광객 유치에 빨간불이 켜진 데 이어 중국으로 수출하는 업체들이 피해가 불거지고 있다. 중국의 수입규제 움직임이 가시화되면서 수출업체들이 입는 피해사례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해 ‘사드 피해 접수센터’(054-880-2713)를 열었다”고 밝혔다.
경북도는 사드 피해 신고가 접수되면 즉시 수출업체를 방문해 애로사항을 파악한 뒤 정부와 수출 유관기관 등과 유기적인 협력으로 해결한다는 계획이다.
지난 7일에는 김남일 경북도 일자리민생 본부장이 수출피해를 입을 것으로 예상하는 상주시 함창 농공단지안 ‘한미래식품’을 방문했다. 이 회사는 김에 양념을 발라 구운 ‘조미김’을 만들어 중국에 연간 160억원씩 수출해왔다. 회사 쪽은 “현재까지는 수출 통관기준이 약간 까다로워진 것 외에는 뚜렷한 어려움은 없다. 하지만 외국수출 물량의 80%가 중국에 몰려 있어 앞으로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며 걱정했다. 김 본부장은 “실질적인 무역 보복조치가 점점 강화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피해사례가 드러나면 즉시 연락을 주시면 곧바로 실질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경북에서는 지난해 전체 수출액 385억원의 30%인 117억원을 중국에 수출했다. 2015년에는 중국 수출 비중이 31%를 차지했다.
경북도는 “중국 수출의 60%를 차지하는 중간재와 35%를 넘는 원자재는 아직 별다른 보복조치의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는다. 하지만 전체 수출물량의 5%에 해당하는 화장품, 식품 등 소비재는 표본검사에서 전수검사로 강화되고, 성분 등을 표시한 라벨을 까다롭게 확인하는 통관을 늦추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고 밝혔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ㅂ 수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