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오전 박근혜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결정된 직후 서문시장 상인들은 “섭섭하지만 어쩌겠느냐. 법을 지켜야 하지 않겠느냐”는 반응을 보였다.
“안타깝고 섭섭한 마음이 들지. 하지만 어쩌겠나, 법을 지켜야지…”
10일 오전 11시21분,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이 결정됐다는 텔레비전 방송이 흘러나오자 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고향’으로 불리는 대구 서문시장 상인들은 침울한 분위기 속에 “섭섭하고 안타깝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전국 3대 시장으로 꼽히는 서문시장은 박 전 대통령이 정치적 위기를 맞을 때마다 자주 찾았고, 상인들은 박 전 대통령을 뜨겁게 환영했다.
서문시장안 식당 주인 황문희(62)씨는 “이왕이면 우리 고향 대통령이 임기를 마치고 성공해서 내려오면 좋지 않겠느냐. 하지만 어쩌겠느냐. 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는데…”라며 말끝을 흐렸다. 포목점 주인 김아무개(59)씨도 “무엇보다 법을 지켜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서문시장 2지구에서 포목점을 운영 중인 하아무개(40)씨는 “나이가 드신 분들은 대통령이 탄핵당할까봐, 어젯밤 잠을 한숨도 못 잤다. 하지만 젊은 층에서는 비교적 담담한 반응이 많다”고 말했다. 김영오(62) 서문시장 상인연합회장은 “박 대통령이 자유인 신분으로 서문시장을 다시 찾으시면 상인들은 여전히 반갑게 맞이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달리 ‘탄핵 환영’ 목소리도 나왔다. 이날 오전 11시30분, 대구 중구 동성로 대구백화점 앞 야외무대에는 ‘기쁘다 그네 가셨네’, ‘탄핵은 대청소의 시작’ 같은 펼침막이 걸렸다. 대구의 89개 단체가 연대한 ‘박근혜 퇴진 대구시민행동’은 이곳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탄핵 결정을 환영했다.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가 배치되는 경북 성주군 초전면 소성리 주민 임순분(63)씨는 “사드 배치 문제가 아직 진행 중이기 때문에 촛불은 꺼지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국정 역사교과서를 전국에서 유일하게 사용하는 경북 경산의 문명고 학부모 오아무개(46)씨는 “국정 역사교과서도 박 전 대통령과 함께 탄핵돼야 한다. 학교 쪽도 빨리 결단을 내려서 국정 역사교과서 연구학교 신청을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구대선 김일우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