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점검서 127곳 부식 발견…시민단체 “위험 심각”
대선후보들에 노후원전 폐로·신규 원전 가동 중단 촉구
대선후보들에 노후원전 폐로·신규 원전 가동 중단 촉구
부산·울산지역 시민단체들이 원자력발전소 원자로 격납고의 방사선 누출 방지용 탄소 강판에서 부식이 발견된 고리 3호기와 같은 공법으로 건설된 4호기의 즉각 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나섰다.
탈핵부산시민연대와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은 22일 부산 기장군 장안읍 고리원자력본부 들머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고리 3호기 격납고를 둘러싸고 있는 탄소 강판이 녹슬었다. 안전을 담보할 수 없는 고리 3호기의 가동을 즉각 중단하고 폐로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고리 3호기에 심각하고 광범위한 탄소 강판 부식이 확인됐고, 같은 공법으로 건설된 고리 4호기 또한 탄소 강판의 부식이 예상된다. 각각 7·8년 남은 설계 수명도 더는 의미가 없다. 고리 3·4호기를 비롯한 노후 원전의 가동을 즉각 중단하고 폐로 절차를 밟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탈핵부산시민연대 관계자는 “오는 5월9일 19대 대통령 선거 출마 후보들은 노후 원전의 폐로와 신고리 5·6호기 등 신규 원전 건설·가동 중단을 공약해야 한다.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대해 희생을 강요해선 안 된다. 위험한 원전이 아니라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정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앞서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최근 원전 격납고 탄소 강판을 정밀 점검한 결과, 고리 3호기 격납고의 탄소 강판 156개 가운데 26개에서 127곳의 부식을 발견했다. 127곳의 부식 지점 두께는 1.98㎜~5.35㎜였다. 원자로 격납고의 콘크리트 벽에 덧대어 설치된 탄소 강판은 두께 6㎜로 방사선 누출 방지 구실을 한다. 원자력안전법이 요구하는 최소 두께는 5.4㎜다.
한국수력원자력 쪽은 “부식된 면적은 전체의 극히 일부이며 안전상 문제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밀 점검 후 필요한 조처를 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