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석면 피해자 중 38.7%가 충남 거주…
과거 충남 지역 거주자까지 더하면 절반 넘어
전국 폐석면광산 66%, 사문석광산 56%가 몰려있어
세계적으로 드물어… “석면 특별관리구역 지정해야”
과거 충남 지역 거주자까지 더하면 절반 넘어
전국 폐석면광산 66%, 사문석광산 56%가 몰려있어
세계적으로 드물어… “석면 특별관리구역 지정해야”
국내 석면 피해자 절반 정도가 충남에 살거나 살았던 것으로 조사됐다. 충남을 석면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관리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와 한국 석면 추방 네트워크는 2011년부터 6년 동안 석면피해자의 질환별, 거주 지역별 분포 현황을 28일 발표했다.
이들이 낸 보고서를 보면, 정부가 석면피해구제법에 따라 인정한 석면피해자 2334명 가운데 충남 거주자가 903명(38.7%)으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많았다. 경기도가 360명(15.4%), 서울이 319명(13.7%), 부산이 244명(10.5%)으로 뒤를 이었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2016년 통계청 인구 현황을 보면 충남의 인구(209만명)는 경기(1271만명)의 6분의 1 수준이다. 하지만 석면피해자는 2배나 많다. 경기와 서울, 대전에 사는 피해자도 과거에 충남 지역에서 산 이력이 있다. 사실상 전국 석면피해자 중 절반 이상이 충남에서 석면에 노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충남 지역 석면피해자 가운데 79%(716명)는 석면폐 환자다. 석면폐는 먼지 등이 폐에 쌓여 각종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진폐증의 하나로, 석면 원료를 직접 다루는 노동자에게 많이 나타난다. 석면폐가 집단 발병한 것도 세계적으로 드문 일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석면 질환은 소량 노출로도 발병하는 악성중피종이다. 일본 아마가사키시 석면 수도관 공장 주변 주민 250여명이 석면 질환에 걸린 ‘구보타 쇼크’ 때도 대부분 악성중피종이었으며, 석면폐는 단 1명이었다. 이탈리아의 에터니트 석면시멘트 공장 주변 주민 3000여명한테 집단 발병한 석면 질환도 대부분 악성중피종이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등은 충남에 석면 피해가 집중된 이유로 전국 폐석면광산의 66%(25개), 사문석광산의 56%(9개)가 몰려있는 지형적 이유를 꼽았다. 충남 지역 석면광산은 일본 강점기에 집중 개발됐으며, 해방 이후 방치됐다가 1960~80년대 일부 재가동됐다. 1980년대 이후 석면이 수입되면서 대부분 폐광됐지만, 제대로 복구되지 않은 채 방치된 곳이 수두룩하다. 70∼80대 남성 석면폐 환자 대부분 1930~1950년대 석면광산에서 일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충남 청양 강정리의 비봉광산은 폐광된 뒤에도 복구되지 않고 건설폐기물 처리업체가 들어서면서 여전히 석면 피해를 낳고 있다. 강정리 석면광산 터 반경 2㎞ 안 주민 가운데 13명이 석면 피해 인정을 받았으며, 이 가운데 7명이 숨졌다.
1970∼1990년대 일본에서 옮겨온 석면 방직공장과 석면 자재를 이용한 조선 시설이 많은 부산도 석면폐 피해자(136명)가 충남 다음으로 많았다.
최 소장은 “충남은 지구촌의 석면폐 집단발병 핫 스팟이라 할 수 있다. 충남 지역 폐석면광산 일대를 석면 특별관리구역으로 지정해야 한다. 청양 강정리 경우처럼 지금도 폐석면광산 부지에서 토지를 이용한 활동이 벌어지기도 하는데 이를 엄격히 금지해야 한다. 석면폐 2∼3급은 요양수당을 2년만 지급하는데 이를 개선해 지속해서 지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환경보건시민센터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