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포천 시민 500여명이 지난달 25일 포천시 신북면 장자산업단지 안 집단에너지시설 건설 현장 앞에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반대 집회를 열고 있다. 석탄반대포천시민공동투쟁본부 제공
초미세먼지와 온실가스의 주범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석탄화력발전소 건설을 반대하는 시민운동이 경기도 포천과 충남 당진, 강원도 삼척·강릉 등 전국에서 벌어지고 있다. 봄이 되면서 미세먼지 발생일이 크게 늘어나자 시민들의 반대운동은 더욱 거세지고 있다.
포천범시민연대와 경기포천환경운동본부 등 포천지역 시민단체들은 오는 12일 포천시장 보궐선거에서 석탄발전소 건설 찬성 후보에 대한 낙선운동을 벌인다고 5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 1일 낙선운동본부를 출범시키고, 낙선운동 대상으로 포천시 의회 전·현직 의장을 지낸 자유한국당 김종천 후보와 바른정당 정종근 후보를 발표했다. 시민단체들은 지난해 4·13총선에서도 같은 이유로 김영우 당시 새누리당(현 바른정당) 후보에 대해 낙선운동을 벌였다.
최광수 포천범시민연대 대표는 “포천 석탄화력발전소는 전 포천시장 서장원과 백영현이 유치하고, 새누리당 전 국회의원 김영우가 조력한 것”이라며 “석탄발전소 허가 과정의 위법성과 업자와의 유착 의혹을 지속 제기했음에도 공사가 계속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경기도 포천지역 시민단체 간부들이 지난달 25일 포천시 신북면 장자산업단지 안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현장 앞에서 ‘석탄화력발전소 결사 반대’를 외치고 있다. 석탄반대포천시민공동투쟁본부 제공
포천 화력발전소는 포천시 신북면 신평리 장자산업단지(45만㎡)에 2015년 12월부터 건설 중이며 내년 상반기에 완공될 예정이다. 포천시는 신평리 일대에 난립한 염색·피혁 공장의 굴뚝을 없애고 석탄발전소 굴뚝 하나로 통합·관리한다는 명목으로 유연탄 화력발전소 건설을 강행하고 있다. 이 곳에서는 시간당 550t 용량의 열과 169.9㎽ 용량의 전기를 생산할 계획이다.
포천지역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지난해 7월부터 시청과 국회, 발전소 건설 현장 등을 찾아다니며 반대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주민들은 “미세먼지 농도가 전국 최악 수준인 내륙 분지 포천에 석탄발전소를 짓는 것은 주민의 생명과 건강을 파괴하는 일”이라고 주장했다. 포천은 2015년 미세먼지 농도 81㎍ 이상 ‘나쁨’이 연간 71일을 기록해 인천 남구에 이어 전국에서 두번째로 대기 질이 나빴다.
한편, 국내에서 가동되는 59기의 석탄화력발전소 중 절반인 29기가 몰린 충남에서도 당진에 추가 건설되는 석탄화력발전소 반대운동이 활발하다. ‘충남 당진 송전선로·석탄화력 범시민대책위원회’는 5일 성명을 내어 “당진은 세계 최대 규모의 석탄화력발전 단지로 대기오염 피해가 상상을 초월한다. 전력이 부족한 상황도 아닌데 정부가 신규 화력발전소 건설을 강행해야 할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또 강원도 삼척과 강릉에서도 화력발전소 건설이 추진돼 주민들이 대책위원회를 꾸려 철회를 요구하고 있다.
박경만 박수혁 최예린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