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보복 등 특정국가 의존 위험부담
일본·대만·동남아로 수출시장 다변화
일본·대만·동남아로 수출시장 다변화
경기도가 중국의 비관세장벽 강화에 대응해 중국을 상대로 추진중인 25개 수출·협력사업 가운데 10개를 취소하거나 축소하고 다른 국가로 변경해 진행하기로 했다.
경기도는 9월19∼20일 중국 선양에서 열 예정이던 지-페어(G-FAIR·경기우수상품 해외전시회) 행사를 두바이로 장소를 변경해 같은 달 26∼27일 개최하기로 했다고 23일 밝혔다. 2011년 선양 지-페어에는 도내 83개 중소기업이 참가해 2015건, 7300만 달러의 상담 성과를 거둔 바 있다.
경기도는 또 8월4∼6일 예정된 상하이 지-페어 참가업체를 60개사에서 40개사로 줄이기로 했다. 충칭 글로벌 소싱페어(5월18∼21일)와 하얼빈 국제무역박람회(6월15∼19일)엔 참가하지 않고, 게임·콘텐츠 분야 저장성 이우박람회(4월27∼30일)에도 참가업체를 20개에서 18개사로 줄이기로 했다.
다음달 15∼19일 충칭에 파견하기로 한 중국 농식품 판로개척단은 목적지를 베트남으로 변경하고, 연중 실시하는 중화권 해외역직구 전자상거래 입점 지원은 일본·대만·동남아로 대상국을 바꾸기로 했다. 11월 계획한 지-트레이드 차이나(G-Trade China) 수출상담회는 베트남 수출상담회로 대체 추진할 예정이다.
경기도가 중국 마케팅사업을 줄이고 수출시장 다변화에 나선 것은 최근 중국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조처처럼 무역의존도가 높은 특정국가에 대한 수출길이 막히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지난해 대 중국 수출액은 350억달러, 미국은 109억달러로 두 나라의 비중이 전체 수출액의 46.8%를 차지했다.
대신 중국 진출 기업의 위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연간 수출보험 지원 한도를 업체당 100만원에서 200만원으로 확대하고, 중국 규격인증 획득지원 한도액도 1천만원에서 2천만원으로 늘렸다.
임종철 경기도 경제실장은 “중국의 비관세장벽 강화, 미국의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PP) 탈퇴 등 높아지는 보호무역주의 장벽에 대응하기 위해 통상과 투자·외교 전략 수정에 나섰다. 별개로 이뤄지던 통상·투자·외교 분야 전략을 수출시장 다변화라는 목표 아래 하나로 묶은 점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말했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