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문화 1번지’를 선포한 경기도 김포시가 남북관계 악화로 중단된, 한강 하구에 대한 남북 공동 조사와 민간 선박 항행을 다시 추진한다. 남북 관계 개선에 적극적인 새 정부가 들어섰기 때문이다. 김포시는 한강 물길 복원도 정부에 건의할 예정이다.
15일 김포시의 설명을 들어보면, 김포의 한강 하구는 휴전선 가운데 유일하게 비무장지대(DMZ)가 없는 곳으로, 정전협정 1조 5항에 따라 남북한의 민간 선박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이는 육상의 비무장지대에 대해 남북한의 민간 이용을 금지하는 것과는 다르다. 한강 하구 중립수역은 파주시 탄현면 만우리에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까지 약 67km에 이른다.
이런 지정학적 여건을 가진 김포시는 지난 2015년 광복 70주년을 맞아 한강 하구 항행과 유도 현황 조사 등을 추진했다. 이를 위해 김포 전류리∼시암리∼마근포리∼조강리∼용강리의 약 45㎞ 구간의 항행하겠다고 정부에 신청했다. 하지만 국방부는 2016년 4월에야 “해당 지역 출입은 남북관계가 호의적으로 진전할 경우 가능하다”고 답변을 보냈다. 사업은 더이상 진행되지 못했다.
유영록 김포시장은 최근 시 간부들이 참석한 ‘평화문화도시 발전방안’ 전략회의에서 “새 정부 들어 남북관계의 첫 물꼬를 틔울 수 있는 곳이 김포”라며 “한강 물길 복원과 한강 하구 평화문화특구 지정 등을 정부에 제안해 남북 화해협력의 마중물 구실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시의 한강 신곡수중보 해체와 물길 복원에 대해서도 “한강의 어종이 급격히 줄었고 하구의 퇴적으로 김포시의 홍수 위험이 커지고 있다. 국방부와 국토부가 전향적으로 검토해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개성공단 재가동과 남북관계 변화에 따른 김포∼개성 간 도로 건설, 배후 물류단지 조성 사업 등도 논의됐다. 김포시는 이달 말 제주국제평화포럼에 참가해 한강 하구 중립수역 홍보에 나서는 한편, 애기봉 평화생태공원 착공, 제2회 한민족 디아스포라 포럼 개최를 추진할 예정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