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속노조 울산지부와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 현대자동차 비정규직지회, 동진지회 등은 16일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문재인 대통령과 새 정부에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 보장과 재벌개혁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했다.
금속노조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 전영수(42) 조직부장과 이성호(47) 대의원은 지난달 9일 소속된 사내하청업체 폐업 뒤 공장에서 쫓겨났다. 같은 업체 노동자 70여명 대부분이 다른 업체로 고용승계됐는데 이들을 포함한 하청지회 조합원 4명만 빠진 것이다. 전씨와 이씨는 현대중공업 ‘사내하청노조 블랙리스트’ 문제를 제기하며 지난달 11일 울산 북구 성내고가차도 20m 높이 교각 위에 올라 16일로 36일째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다.
현대자동차 비정규직 노동자 21명도 지난해 4월 노조에 가입했다는 이유로 ‘자택 무급대기’ 명령을 받고 공장 출입이 통제돼 일자리를 잃었다. 이들은 현대차 울산공장 주위에서 이날로 372일째 노숙농성을 이어갔다. 현대·기아차그룹 계열 현대글로비스 협력업체 동진오토텍도 지난해 10월 노조가 설립되자 올해 초부터 사업 매각과 폐업 수순에 들어가 440여명 노동자의 생존권을 위협하며 노사마찰을 일으켰다.
금속노조 울산지부와 현대중공업 사내하청지회, 현대자동차 비정규직지회, 동진지회 등은 16일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함께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문재인 대통령과 새 정부에 “대선 때 울산 비정규직 금속 노동자들과 약속한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노동기본권 보장과 재벌개혁에 적극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이들 노조는 회견에서 “노조를 만들었다는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이름을 올리고, 노동자 인권과 생존권을 짓밟는 재벌들이야말로 우리 사회의 근본 악이며, 반드시 청산해야 할 적폐들이다. 지금 노동자들에게 가장 시급히 해결돼야 할 문제는 한국사회 적폐 중의 적폐인 정경유착, 재벌의 갑질 횡포, 비정규직 착취”라고 지적했다.
또 현대중공업과 현대자동차 쪽에도 “더 이상 갑질 횡포를 중단하고 노동자들의 생존권 보장에 적극 나서라”고 촉구했다. 이들 노조와 민주노총 울산본부는 이날 ‘생존권 사수와 노동기본권 쟁취를 위한 울산금속 공동투쟁단’도 결성했다.
앞서 울산지역 40여개 시민사회단체가 참여하는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도 지난 15일 기자회견을 열어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등 핵발전소 신규건설 중단과 수명을 다한 노후 핵발전소 폐쇄 등 대선 때의 탈핵 공약을 거침없이 완수해 2017년이 탈핵 원년임을 선포할 것”을 문 대통령과 새 정부에 촉구했다. 글·사진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