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건설백지화 강릉범시민대책위원회는 24일 오전 강릉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강릉시와 강릉에코파워에 석탄화력발전소 백지화에 동참할 것을 요구했다. 강릉시민행동 제공
새 정부 출범으로 에너지 정책에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강원도에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백지화를 요구하는 주장이 커지고 있다.
강릉지역 10개 시민단체로 꾸려진 석탄화력발전소건설백지화 강릉범시민대책위원회는 24일 오전 강릉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세먼지 없는 청정 강릉의 미래를 위해 강릉시와 강릉에코파워는 발전소 건설 백지화에 동참하라”고 요구했다. 대책위는 “새 정부는 새 발전소 건설 중단 등을 국정과제로 삼고 있으나 강릉시는 강릉에코파워와 주민 보상협의와 민원해결을 위한 지원을 하고 있다. 강릉에코파워는 공정률 10%를 넘기기 위해 공정률을 부풀리고 투자금액을 서둘러 늘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강릉에코파워는 2022년 10월까지 강릉 강동면 안인리에 5조790억원을 들여 1040㎿ 2기 규모의 안인화력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이다. 강릉에코파워가 밝힌 공정률은 14.4%지만 미착공 상태다. 홍진원 강릉시민행동 사무국장은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안인석탄화력발전소 백지화를 약속했다. 강릉시와 강릉에코파워는 하루빨리 백지화를 결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삼척에서는 원전 반대 단체가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백지화에 동참했다. 삼척핵발전소반대투쟁위원회와 삼척학습실천연대는 지난 22일 성명을 내어 “관광 삼척을 파괴하는 발전소 건설에 반대한다. 삼척시장과 시의회는 청정 삼척 지키기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삼척석탄화력발전소건설반대범시민연대와 함께 1인 시위와 대시민 선전전, 대시민 강연회 등에 나설 참이다.
포스코 계열사인 포스파워는 삼척 적노동 동양시멘트 광산 터에 1000㎿급 2기 규모의 화력발전소를 짓겠다며 2013년 7월 발전사업 인허가를 취득했다. 하지만 주민 반대와 발전 연료 하역부두 건설에 따른 해안침식 문제 탓에 착공하지 못했다. 이붕희 삼척석탄화력발전소건설반대범시민연대 상임대표는 “지난 15일 청와대에 삼척 포스파워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계획 백지화 건의서를 냈다. 삼척 포스파워 발전소는 재검토가 아닌 계획 백지화가 타당하다”고 말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