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구미시의 행정 조직도. 구미시 누리집 화면 갈무리
구미참여연대가 경북 구미시에 새마을과 폐지를 요구했다.
구미참여연대는 29일 “박정희 개발독재의 유물인 새마을에 대한 구미시의 집착과 관 주도 행정, 일방적 지원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며 새마을과 폐지를 요구한다. 새마을은 이미 철 지난 개발독재 시대의 운동 모델이며 구미시가 그 모델을 버리지 못하는 것은 정치적 필요라는 의심을 가질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이어 “구미시는 지난해 17억원, 올해 16억원을 ‘새마을 선진화’ 예산으로 책정해 그 절반 정도를 새마을 관련 단체에 사업 위탁금이나 보조금으로 지원하고 있다. 새마을에 대한 일방적 지원과 패권적 조직 운영은 시민 참여 활동의 다양한 생태계를 파괴하면서 시민사회 영역에 대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봉쇄하는 부작용을 낳고 있다”고 덧붙였다.
구미시는 안전행정국 안에 새마을과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1978년도에 만들어진 새마을과 안에는 새마을담당 업무를 하는 직원이 5명 배치돼 있다. 이들은 새마을회 운영, 새마을협의회 조직 지원·육성, 새마을운동 국제화 사업 등을 하고 있다. 또 알뜰벼룩장터, 교통봉사대, 행복한 보금자리 사업, 새마을금고 등의 일도 맡고 있다. 이와 비슷한 이름의 조직으로 경북도에는 새마을봉사과, 충남도에는 도민협력새마을과가 있다.
박수원 구미시 새마을과장은 “새마을과에서는 단순히 새마을단체 지원 업무만을 하는 것이 아니라 알뜰벼룩장터와 행복한 보금자리 사업 등 주민의 편익이나 민원과 직결된 일을 많이 하고 있다. ‘새마을’이라는 단어를 부서 명칭으로 사용하는 자치단체도 충남도 등을 비롯해 전국에 25곳이나 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단순히 부서 이름을 갖고 논란이 되는 것은 좀 아니라고 본다. 정권이나 이념에 따라 새마을이라는 고유 가치가 달라지는 것 같아서 안타깝다”고 말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