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운동장에 깔린 우레탄을 모두 걷어내고 마사토와 잔디 등 친환경 운동장으로 바꾸는 ‘대구시 친환경 운동장’ 조례가 본회의 통과를 눈앞에 둬 눈길을 끈다.
대구시의회는 26일 “먼지가 날리고 유해물질이 검출되는 학교운동장을 친환경 운동장으로 바꾸기 위한 조례안이 해당 상임위원회인 교육위원회에서 이미 심의를 거쳤고, 오는 30일 본회의 통과가 확실시된다”고 밝혔다. 이 조례안은 대구시의회 배창규(자유한국당·비례) 의원이 대표발의했다.
이 조례안에는 대구시교육감이 유치원과 초· 중고교에서 친환경운동장을 조성하기 위해 3년마다 계획을 세우고 유해성 여부를 조사해야 한다고 돼 있다. 교육감은 이어 친환경 운동장을 만들기 위해 예산을 확보해야 한다. 대구지역 유치원과 초, 중고교 운동장은 우레탄 162곳, 마사토 370곳, 천연잔디 11곳, 인조잔디 74곳 등으로 구성돼 있다. 대구시교육청은 “현재 우레탄을 모두 걷어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오는 8월 말 작업이 끝나면 우레탄 운동장은 마사토나 잔디운동장으로 변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례를 대표발의한 배 의원은 “운동장은 체육활동뿐 아니라 학생들이 놀이와 휴식 등 다양한 활동을 하면서 학교생활을 즐기는 공간이다. 친환경적인 운동장으로 바꿔 학생들이 건강하고 안전한 학교생활을 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대구지역에는 공사립 유치원 367곳에서 3만8950명, 초등학교 228곳에서 12만4천명, 중학교 125곳에서 6만8900명, 고등학교 93곳에서 8만7600여명 등 모두 813곳에서 30만여명의 학생들이 공부를 한다. 친환경운동장 조례를 운용중인 광역지자체는 부산, 광주, 울산, 경기, 충북, 경북, 제주 등 7곳이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