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한동수 청송군수·문경시 압수수색
김병목 전 영덕군수·도의원 1명도 수사
지역 정가 “새 정부 공직사정 시작됐나”
경찰 “수사시점 우연히 맞아떨어졌을뿐”
김병목 전 영덕군수·도의원 1명도 수사
지역 정가 “새 정부 공직사정 시작됐나”
경찰 “수사시점 우연히 맞아떨어졌을뿐”
경찰이 경북지역 전·현직 기초자치단체장과 도의원, 기초단체 간부공무원 등을 상대로 대대적인 비리 수사에 나섰다.
경북경찰청은 5일 청송군으로 수사관을 보내 한동수(68) 군수실과 자택을 압수수색했다. 경찰은 청송군이 출자한 청송사과유통공사 임직원이 빼돌린 자금을 수사하던 중 일부 자금이 한 군수 쪽으로 흘러들어 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송사과유통공사는 2011년에 설립돼 청송 사과농가 3200여곳에 수확 뒤 판로까지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매출액이 2300억원을 웃돌았지만 6억8000여만원의 적자를 내는 등 경영이 방만하고 불투명해 군의회로부터 여러 차례 지적을 받았다.
정미진 청송군의원은 “전체 사과농가의 5% 정도가 유통공사를 이용한다. 나머지 대부분은 외면하는데 특정 농가들의 사과 판로만 도와준다는 비난을 사고 있다”고 말했다. 한 군수 쪽은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안다”는 반응을 보였다.
경찰은 또 경북 문경시가 벌이는 녹색문화상생벨트사업 납품비리도 캐고 있다. 정부의 3대 문화권 선도사업인 녹색문화상생벨트사업은 1100억원을 웃도는 사업비의 70%를 국비 지원받아 백두대간 생태자원, 녹색에너지, 영상문화 콘텐츠를 결합한 휴양문화공원을 조성하는 것이다. 경찰은 문경시 관광진흥과를 압수수색해 설계도면과 관련 자료를 확보했다.
경찰은 “사업과 관련해 폐회로티브이(CCTV) 등 각종 자재를 구매하며 납품업체와 결탁했다는 의혹을 조사 중이다. 납품받은 시시티브이 성능이 다른 업체 제품과 비슷한데 가격이 더 비싼 이유를 눈여겨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경찰은 문경시 간부공무원이 사건에 연루됐다는 혐의를 잡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김병목(65) 전 영덕군수도 수사하고 있다. 경찰은 3선 임기를 끝내고 영덕군 지품면 자택에 사는 김 전 군수집에 수사관을 보내 관련 서류를 확보했다. 경찰은 김 전 군수를 불러 조사했지만 혐의를 완강히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회삿돈을 횡령한 혐의로 경북도의원 ㅈ씨를 수사하던 중 일부 자금이 김 전 군수한테 흘러들어 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역 정가에선 “새 정부에서 벌써 공직 사정을 시작한 것 아니냐”는 반응이 나왔다. 경찰은 “수사 시점이 우연히 맞아떨어졌을 뿐”이라고 말했다.
구대선 기자 sunnyk@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