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선택 대전시장(가운데 협약서 펼쳐 든 이)이 6일 오전 대전시청 회의실에서 계룡시와 옥천·보은·영동·금산군과 공공의료 안전망 구축 및 재난 공동대응 협약을 한 뒤 시·군 단체장 및 관계자들과 함께 협약서를 공개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대전시와 대전 인근의 5개 기초자치단체가 대전의료원 설립을 위한 협약을 맺었다. 지난해 설립이 무산된 대전의료원을 재추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기대를 모은다.
권선택 대전시장, 최홍묵 계룡시장, 정상혁 보은군수, 김영만 옥천군수, 박세복 영동군수, 박동철 금산군수 등 대전과 충남·북 6개 자치단체는 6일 오전 대전시청에서 ‘공공 의료 안전망 구축 및 재난 공동대응’ 협약을 했다. 이들 자치단체장은 협약에서 △공공의료 안전망 확충을 위한 중부권 거점 대전의료원 설립에 공동 협력 △6개 자치단체가 참여하는 광역 공공보건의료지원센터 구축·운영 △분만·응급의료 취약지역 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설 공동 활용 △신종 감염병 대응 및 협조 체계 구축 등에 공동 협력하기로 했다.
자치단체장들은 “공공보건의료서비스가 행정구역 단위로 이뤄져 감염병에 공동 대응하거나 의료 인프라를 공동 활용하기 어려운 게 현실이었다”며 “이번 협약이 대전의료원을 거점으로 한 연계협력 체계를 이뤄 중부권 광역의료망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연구자료(2016)를 보면, 대전 인근 5개 자치단체 주민들의 대전지역 의료기관 이용률은 금산 82.7%, 옥천 66.3%, 계룡 79.6%, 영동 84.4%, 보은 20.2%이다. 정상혁 보은군수 등은 “현재 충북에 지방의료원 2곳, 충남에 지방의료원 4곳이 있으나, 서북부와 내륙에 위치해 접근성에 떨어지는 옥천·영동·보은·금산·계룡지역 주민은 의료 사각지대에 있다. 이런 의료 불균형 문제를 풀기 위해서라도 대전의료원을 설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2009년 신종플루와 2015년 메르스 등 국가적 비상 의료사태를 경험해 공공보건의료의 필요성을 누구나 공감한다. 대전의료원이 개원하면 중부권 거점 공공병원으로서 주변 자치단체와 긴밀하게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전의료원은 민선 6기 권선택 대전시장의 공약사업으로, 대전시는 대전 동구 용운동 17만8000㎡에 1315억원을 들여 300병상 규모로 대전의료원을 짓는 계획을 세웠으나 지난해 예비 타당성 조사 사업대상에서 제외돼 무산됐다. 대전시는 대전의료원 설립이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 공약사업에 반영됐고, 중부권 공공보건의료의 거점이 필요하다는 인근 자치단체의 주장 등에 힘입어 재추진에 나섰다. 시는 올해 안에 보건복지부와 협의를 거쳐 기획재정부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다시 신청할 방침이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