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지역 20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소모임들이 18일 울산시청 남문 앞에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한 울산시민운동본부’ 출범식을 열고 “시민의 힘과 결정으로 ‘탈핵 울산’의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 것”을 다짐했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영구중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공론화를 앞두고 울산지역 200여개 시민사회단체와 소모임들이 모여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위한 시민운동본부를 결성했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는 18일 울산시청 남문 앞에서 출범식을 열고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는 한국사회가 탈핵 시대로 나아가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시민의 힘과 결정으로 ‘탈핵 울산’의 정의로운 세상을 만들 것”을 다짐했다. 울산시민운동본부에는 ‘탈핵울산시민공동행동’을 포함한 202개 시민사회노동단체와 마을 소모임, 김종훈·윤종오 국회의원 등 정치인과 종교인 20명이 참여한다.
울산시민운동본부는 출범선언문을 통해 “신고리 5·6호기는 건설승인 때부터 문제를 잉태했다. 최대지진평가는 부실이었고 다수 호기 안전성 평가는 누락됐으며, 방사선 환경영향평가 때 중대사고나 개정된 법에 따른 주민 의견수렴도 뺐다. 인구밀집지역 위치 제한도 자의적으로 적용했다. 건설승인이 떨어지기 전에 먼저 원자로 설비와 터빈 발전기 등을 계약하는 비상식적인 배임 행위까지 서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는 공론화 기간 울산 도심과 마을 곳곳 소규모 공론장에서 핵발전소 추가건설의 문제점을 공론화해 신고리 5·6호기 백지화와 탈핵 시대를 이끄는 ‘울산시민 1000인 토론회’를 여는 등 시민들이 탈핵의 주체로 나서 스스로 탈핵 로드맵을 마련하고 이를 정치에 반영시키는 에너지 민주주의를 이룰 것이다. 부산과 경남 등 다른 지역과도 연대해 서로 독려하며 신고리 5·6호기 백지화와 탈핵 시대를 촉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출범식에는 ‘밀양 할매·할배들의 탈핵·탈송전탑 원정대’를 비롯해 울산은 물론 부산과 경남의 시민사회단체 회원들도 참가했다. 밀양에서 온 주민 정임출씨는 “우리가 송전탑 문제로 싸운 지 12년 됐다. 70대 중반을 넘긴 나이에 나 혼자만 생각했다면 한전에서 돈 받아 편히 살 수도 있었겠지만 손주와 후손들을 위해 도저히 그냥 있을 수 없었다. 요즘 원전 짓는 데 찬성하는 대학교수들은 학식도 많은 사람들이 도대체 무슨 생각으로 그러는지 모르겠다”고 꼬집었다.
한편, 이관섭 한국수력원자력 사장은 이날 신고리 5·6호기 건설 현장인 울산 울주군 서생면 주민들과 간담회를 열고 “한수원 이사회가 신고리 5·6호기 건설 일시중단을 결정한 것은 결정을 미룰 경우 현장 협력업체나 일용직 근로자들의 피해가 커질 것으로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영구중단 만은 막겠다"고 말했다.
글·사진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