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선 차이·비민주적 운영 등 이유
일부 주민 탈퇴반발에 위원들 사퇴
활동 계속해도 연대 재개 힘들 듯
일부 주민 탈퇴반발에 위원들 사퇴
활동 계속해도 연대 재개 힘들 듯
성주 주민들로 구성된 ‘사드배치 철회 성주투쟁위원회’가 노선·운동 방식의 차이와 비민주적 운영 등을 이유로 그동안 함께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반대 투쟁을 해온 6개 연대 단체 회의에서 빠지기로 결정했다. 이에 일부 주민들이 반발하자 성주투쟁위 운영위원들이 모두 사퇴하는 등 내부 갈등도 빚어지고 있으나 단체 자체가 활동을 접는 상황까지 치닫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14일 성주투쟁위 운영위원들과 관련 단체 관계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성주투쟁위는 지난 8일 운영위 회의를 열어 지난해 11월24일부터 ‘사드배치 반대 김천시민대책위원회’, ‘원불교 성주성지수호 비상대책위원회’, ‘사드 한국배치 저지 전국행동’, ‘사드배치 반대 대구경북대책위원회’, ‘사드배치 저지 부산울산경남대책위원회’ 등과 함께 해온 6개 연대 단체 회의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
상당수 성주투쟁위 운영위원들은 그동안 6개 연대 단체가 함께 운영한 소성리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연대 단체들이 독단적으로 투쟁 방향을 결정했다고 비판한다. 최근 극우단체인 서북청년단이 성주에 왔을 때 다른 단체들은 물리적 대응을 하겠다는 입장이었지만, 성주투쟁위는 증거 자료를 확보해 법적 대응을 하자고 하는 등 크고 작은 국면마다 마찰을 빚었다. 지난달 17일 먼저 사퇴 의사를 밝힌 김충환 성주투쟁위 상임위원장은 “성주투쟁위는 6개 주체 중 하나의 주체인데, 소성리 상황실과 6주체 회의에서 논의된 사안이 성주투쟁위에 전달되지 않았다. 모든 결정은 거기서 하고 책임은 성주투쟁위가 지는 일은 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갈등의 골이 끝까지 간 것 같다”는 게 상황을 잘 아는 시민단체 관계자의 말이다.
소성리 종합상황실 대변인 강현욱 원불교 교무는 “성주투쟁위의 내부적 문제라서 (그런 주장에 대해) 소성리 종합상황실에서 어떤 입장을 밝히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성주투쟁위 운영위원들은 6개 연대 단체 회의에서 빠지는 결정에 일부 주민들이 반대하자 지난 10일 모두 사퇴했다. 하지만 김충환 상임위원장과 노성화 촛불지킴단장은 아직 직을 유지하고 있다. 성주투쟁위 규약상 상임위원장과 촛불지킴단장은 선출과 해임을 전체 총회(촛불집회)에서 하도록 돼 있기 때문이다.
현재 성주 주민들 사이에선 운영위원 전원 사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의견이 많다. 또 성주투쟁위가 사라지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분위기도 강하다. 조만간 촛불집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여 성주투쟁위 운영위가 다시 구성될 가능성도 남았다. 하지만 성주투쟁위 운영위가 다시 구성되더라도 다른 단체들과의 연대는 매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성주투쟁위 운영위원에서 사퇴한 한 주민은 “연대는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 신뢰가 이미 많이 무너져 있기 때문에 성주투쟁위가 다시 다른 단체와의 연대 회의에 참여하는 것은 매우 가능성이 낮다”고 말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