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비전국연대가 22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위안부 모욕 막말한 이기원 전 바른정당 충남도당 대변인과 바른정당은 피해자와 국민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하고 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와 전국 평화의 소녀상 건립 추진위원회 등으로 꾸려진 평화비전국연대는 22일 충남도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바른정당은 전 충남도당 대변인인 이기원 씨의 발언에 대해 공식 입장을 밝히고 피해자들에게 사과하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이씨는 일본군성노예제 피해자들에 대해 ‘낯뜨겁고 부끄러운 역사’라거나 평화비를 세우는 것이 ‘역사의 이름을 빌린 위선’이라고 했다. 부끄러워해야 할 대상은 일본 정부지 피해자와 우리 국민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 문제는 역사 문제이기도 하지만 인권문제이고 여성 문제이며 평화에 대한 문제이다. 이씨는 이를 이해하지 못하고 강대국의 힘 논리와 남성 중심 시각에 갇혀 수준 이하 발언을 했다”고 비판했다.
논란이 일자 바른정당은 지난 18일 운영위원회를 열어 이씨를 제명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대해 평화비전국연대는 제명 당한 뒤에도 여전히 사과하지 않은 이씨와 함께 바른정당도 사과해야 한다는 태도다.
장명진 충남평화비추진위원회 대표는 “이 일은 이씨 한 사람 제명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바른정당은 피해국 정당으로서 가해자인 일본 정부에 사죄를 요구하지 못할망정 몰역사적, 반인권적 막말로 피해자와 국민에게 상처를 줬다. 만약 이씨와 바른정당이 사과하지 않으면 법적인 대응까지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이기원씨는 지난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띄운 ‘소녀상과 부국강병’ 제목의 글에서 ‘민족이라는 개념이 유지되는 한 (위안부) 역사는 참 낯뜨겁고 부끄러운 역사다. (고려 시대) 공녀와 (조선 시대) 환향녀가 민족이 쉬쉬했다면 유별나게 위안부는 동상까지 만들면서 역사를 반복하지 말자고 한다. 위안부 역사를 기억한다며 가는 곳마다 동상을 세운다고 한다. 역사의 이름을 빌린 위선이다’라고 주장해 물의를 일으켰다.
글·사진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