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수도완성 충청권공동대책위원회는 29일 세종시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행정수도 개헌 등을 위해 활동을 재개하겠다고 밝혔다. 행정수도완성세종시민대책위원회 제공
행정수도 개헌의 충청권 추진 동력이 재가동했다.
행정수도완성충청권공동대책위원회(충청권공대위)는 29일 오후 세종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활동 재개를 선언했다. 충청권공대위는 “지금 세종시는 국가정책의 원안 목표이자 종국적 과제인 행정수도라는 법적 지위를 확보하기에 더없이 적절하고 정당한 정치 상황을 맞고 있다. 충청지역 정치권과 기초·광역단체장 등이 당파를 떠나 행정수도 완성에 한목소리를 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세종시의 행정수도 지위와 역할을 확보하고, 행정중심복합도시 정상건설 및 충청권 상생발전을 위한 광역도시계획 집행 등을 위한 활동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충청권공대위는 2002년 결성된 민주적 지방자치와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지방분권국민운동본부를 시작으로 이명박 정부의 세종시 백지화 정책에 맞선 충청지역 시민사회단체연대의 맥을 잇고 있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장수찬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상임공동대표, 남기헌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공동대표, 이상선 지방분권전국연대 상임공동대표, 행정수도완성세종시민대책위원회 맹일관·최정수 상임대표 등이 참석했다.
29일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행정수도 완성 자치분권 실현 대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행정수도 개헌과 세종시의 위상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행정수도완성세종시민대책위원회 제공
이어 ‘행정수도 완성 자치분권 실현 대토론회’가 세종시·행정수도완성세종시민대책위원회 주최로 세종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 날 토론회에서 조명래 단국대 교수는 “지방분권으로 국가발전을 이끌려면 헌법에서 통치구조의 분권화를 명확히 해야 한다. 헌법 제3조에 국가상징수도로서 서울과 정치행정수도로서 세종시를 명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민원 광주대 교수는 “행정수도가 좌초되고 행정도시가 건설돼 불균형이 확대하고 있다. 세종시의 행정수도화가 필수이며 ‘선 지방분권 개헌, 후 세종시 수도개헌’을 이뤄야 한다”고 제안했다.
송인걸 기자
igs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