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포그린에너지 “산자부 인가 지연. 열 공급 중단할 수도”
충남도 “정부 기조는 ‘청정에너지’, 고형폐기물 연료 고집 못 해”
충남도 “정부 기조는 ‘청정에너지’, 고형폐기물 연료 고집 못 해”
충남 내포신도시 열병합발전소 건설 논란이 충남도와 사업자 사이의 갈등으로 번지고 있다.
내포 열병합발전소 민간 사업자인 내포그린에너지는 “지난 28일 긴급 이사회를 열어 정상적인 공사진행이 이뤄지지 않으면 올 겨울 (내포 지역) 모든 열사용자에 대해 열에너지 공급을 제한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다. 이를 충남도와 공동주택단지에 통보했다”고 30일 밝혔다. 내포 열병합발전소는 홍성·예산 신도시에 열을 공급하는 집단에너지 사업이며, 2012년부터 임시보일러 시설을 운영해 현재 8개 공동주택단지의 9272세대와 오피스텔 등 1191세대, 충남도청·교육청·경찰청 등 6개 공공시설에 열을 공급해 왔다. 내포그린에너지는 한국남부발전, 롯데건설, 삼호개발 등이 참여했다.
내포그린에너지는 “산업통상자원부(산자부)가 공사계획 승인·인가를 지연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이 있고, 12월에 준공하려던 열전용 보일러 시설뿐 아니라 발전시설을 포함한 공사 자체를 전면 중단할 위기다. 임시로 운영하는 보일러도 가동 중단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내포그린에너지가 ‘열 공급 중단’ 가능성을 밝히는 등 충남도와 갈등하는 것은 충남도의 에너지 정책 기조가 바뀐 데 따른 것이다. 애초 충남도는 민간 사업자의 계획대로 열병합발전소 사업을 추진한다는 태도였다. 안희정 충남지사는 지난 6월 충남도의회 본회의에서 “고형폐기물연료(SRF)의 안정성을 도가 보장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 출범 뒤 산자부가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강조하면서 충남도의 에너지 정책도 변화했다. 허승욱 충남도 부지사는 지난 28일 “고형폐기물연료를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 사업을 계속 추진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허 부지사는 지난 21일 내포그린에너지 쪽에 사업 계획 변경 필요성에 관한 의견을 전했으며, 안희정 충남도지사도 31일 백운규 산자부 장관에게 바뀐 충남도의 태도를 밝힐 예정이다.
공상현 충남도 내포상생협력기획단장은 “산자부는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핵심정책회의에서 ‘안전하고 깨끗한 미래 에너지로 전환하겠다’고 발표했다. 주민들의 반대가 아니더라도 지금 고형폐기물연료로 (그대로) 끌고 간다면 충남도만 바보가 되는 것이다. 업체가 하룻밤 사이 달아나지 않는 이상 열 공급 중단 상황이 현실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