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는 31일 오전 상지대 본관 앞에서 고철환 상지학원 이사장과 정대화 상지대 총장직무대행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천막농성장 철거식을 열었다. 상지대 비대위 제공
‘상지대 분규의 상징’인 천막농성장이 3년 만에 철거됐다. 상지학원 이사회와 교수, 학생, 직원, 지역주민 등은 상지대 정상화를 선언하고 정부가 추진하는 공영형 사립대에 선정되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는 31일 오전 상지대 본관 앞에서 고철환 상지학원 이사장과 정대화 상지대 총장직무대행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천막농성장 철거식을 열었다. 이 천막농성장은 2014년 8월 김문기씨가 총장에 복귀한 뒤 비대위가 설치했던 것으로 지금껏 상지대 분규의 상징이 됐다.
방정균 상지대 비상대책위원회 공동위원장은 “새 정부의 관선이사 파견과 총장직무대행 선임, 상지학원 이사회 학내 개최 등 대학 정상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상지대 정상화의 상징적 의미로 천막농성장을 철거한다"고 밝혔다. 정대화 상지대 총장직무대행도 “김문기 옛 재단에 맞서 싸워야 했던 상지대 사태가 10년 만에 모두 끝났다. 앞으로 김문기씨 등 옛 재단 때문에 학교에서 분규가 일어날 일은 없다”고 말했다.
상지학원 이사회는 천막농성장 철거식에 앞서 기자간담회를 열어 상지대 발전을 위해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공영형 사립대에 상지대가 선정되도록 힘쓰겠다고 밝혔다. 고철환 상지학원 이사장은 “새 정부가 공영형 사립대를 추진하고 있는 것은 그동안 시민대학을 거쳐 공영대학으로 발전을 모색해온 상지대로선 절호의 기회다. 이사회와 대학 본부, 구성원, 지역사회 등이 참여하는 가칭 ‘상지학원 공영형 사립대추진위원회’부터 꾸리겠다”고 말했다. 또 고 이사장은 “고등교육기관은 누구의 사적 소유물일 수 없고 소유물이 돼서도 안 된다는 것이 국민적 합의사항이다. 설립자든 이사장이든 누구도 대학을 소유하거나 좌지우지할 수 없다. 철저히 구성원의 참여와 자치의 정신을 바탕으로 대학을 운영하겠다”고 약속했다.
상지대 사태는 1993년 ‘문민정부 사학비리 1호’로 상지학원 이사장에서 물러난 김문기씨가 복귀하려고 2004년 ‘상지대 정이사 체제 전환을 무효로 해달라’는 소송을 냈고, 2007년 대법원이 김씨 손을 들어주면서 시작됐다. 이후 2010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가 김씨 쪽에 과반수 추천권을 주면서 김씨는 이사회를 장악했고 2014년 총장으로 복귀해 학내 갈등이 커졌다.
하지만 2016년 10월 대법원이 ‘2010년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이사 선임이 위법하다’며 다시 구성원들의 손을 들어줬고, 교육부는 지난 4일 임기 1년의 임시이사 8명을 새로 선임했다. 새 이사회는 지난 21일 김문기씨 복귀에 반대하며 상지대 민주화 투쟁에 앞장섰던 정대화 교수를 총장직무대행에 선임해 학교 정상화의 길을 열었다. 박수혁 기자
ps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