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희정 충남지사가 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이사회 ‘인권 패널 토의’에서 ‘인권 증진 및 수호에 있어 지방정부의 역할’이란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충남도 제공
안희정 충남지사가 유엔(UN) 인권토의에서 “실질적인 인권 증진을 위해서는 지방분권을 통한 다층적 거버넌스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 지사는 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인권이사회 ‘인권 패널 토의’에 발표자로 나서 국제인권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지방정부 역할을 강조했다.
안 지사는 인권조례, 인권선언, 인권센터, 도민인권지킴이단, 양성평등비전 2030 등 충남도 인권행정 사례를 소개하면서 ‘3농(농민, 농촌, 농업) 혁신’을 충남형 인권 정책으로 내세웠다. 도농복합 지역인 충남에서는 도시와 농촌 사이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것이 인권 증진 측면에서도 우선 과제라는 취지다.
이어 안 지사는 “인권 증진의 실질적인 효과는 지역에서 체감할 수 있다. 그러나 그동안 지방정부는 국가별 인권상황 정기검토나 인권조약기구 심의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했다. 오는 11월 제출될 한국의 인권상황 보고서에도 충남 등 여러 지방정부의 우선 과제인 도-농 간 격차와 불균형에 대한 현실이 더 충분히 반영돼야 했다. 지방정부가 구체적인 인권 전략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국제기준들이 만들어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의에는 오스트리아 캐서린 파벨 교수와 멕시코 호세 크루즈 오사리오 유엔개발계획 팀장, 케냐 완지루 기코뇨 코디네이터 등도 참여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