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성 담보되지 않는 핵발전소를 미래세대에 떠넘길 수 없어”
부산 반핵단체가 지난해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지진을 되새기며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을 호소하고 나섰다.
탈핵부산시민연대는 12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날은 경주에서 규모 5.0 이상 지진이 발생한 지 1년 되는 날이다. 지진에 대한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은 신고리 5·6호기는 반드시 백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단체는 “현재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대한 공론화가 진행 중이다.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에 따른 2조원이 넘는 매몰 비용을 이유로 국민의 뜻을 묻겠다는 공론조사 취지를 동의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신고리 5·6호기가 건설되면 고리지역에만 10기의 핵발전소가 들어서게 된다. 지금까지 핵발전소 때문에 고통을 받은 지역 주민에게 또다시 고통과 희생을 강요할 수 없다. 공론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탈핵부산시민연대 관계자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이 되면, 생활 불편이 생길 수도 있다. 전기료 등 가계 지출이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하지만,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 핵발전소를 근처 주민과 미래세대에 떠넘길 수는 없다”며 국민의 지지를 호소했다.
지난해 9월12일 경주에서 규모 5.1에 이어 5.8 지진이 땅을 흔들었다. 일주일 뒤엔 규모 4.5 지진이 발생했고, 여진이 몇백 차례 계속됐다. 소방방재청은 2012년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에서 고리원전에서 5㎞ 떨어진 일광단층과 월성원전에서 12㎞ 떨어진 울산단층이 활성단층이라는 내용의 보고서를 냈다.
하지만, 정부는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는 이유로 보고서를 비공개하고 추가 연구도 하지 않았다. 그 사이 핵발전소 건설 승인을 심사하는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지난해 6월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승인했다. 현재 건설이 잠정 중단된 신고리 5·6호기의 공정률은 30%가량이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