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이 열린 지난 5월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희생자 유가족과 시민들이 묘지를 둘러보고 있다. 광주/김성광 기자 flysg2@hani.co.kr
5·18민주화운동 당시 희생자의 주검을 암매장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유해 발굴이 추진된다.
5·18기념재단은 “5·18 암매장 지역으로 추정되는 곳을 발굴하기로 했다”고 18일 밝혔다. 5·18기념재단은 우선 광주시 북구 각화동 옛 광주교도소 외곽지역을 1차 발굴지로 주목하고 있다. 이곳은 최근 찾아낸 문서에서 광주교도소에 주둔하던 3공수여단 부대원이 작성한 메모 형식으로 암매장에 대한 약도가 표시되어 있다. 재단은 “검찰에 협조를 구했으며, 광주시의 행정적인 지원을 받아 토지소유자와 협의 등 발굴 절차가 마무리 되는 대로 실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5·18 암매장 추정지인 광주교도소 외곽지역은 암매장됐다가 광주시와 가족에 의해 발굴된 장소와는 다르다. 5·18 당시 3공수여단 소속 일병이던 이상래씨는 1989년 ‘광주특위’에 “80년 5월 교도소 울 안 뒤편 소나무 숲에 시체 5구를 묻었다”고 제보해 당시 평화민주당 의원들이 발굴에 나섰지만 주검은 발견되지 않았다.(<한겨레>89년 1월14일치 11면) 하지만 80년 5월31일 계엄사령부가 밝힌 ‘광주사태 진상 조사’ 결과를 보면, 광주교도소 안팎의 희생자 28명 중 명단이 확인된 주검은 11구에 불과해, 나머지 17명이 이곳에 암매장됐을 수도 있다는 합리적 의심이 가능한 곳이다.
이밖에 재단은 전남 화순 너릿재와 광주시 동구 제2수원지 지역 등 기존에 제보받았던 5·18 암매장 추정지에 대해서도 발굴을 추진할 방침이다. 김양래 재단 상임이사는 “화순 너릿재 지역은 ‘대낮에 포크레인으로 주검을 묻었다’는 제보를 받고 그동안 확인하지 않았던 곳으로 유골이 발견되면 검찰에서도 이 부분에 대해 수사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광주/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