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부터 공급열 100℃→80℃ 낮춰
사업자 “산자부 인가 늦어져 자금 압박. 어쩔 수 없는 상황”
충남도 “열교환기 쓰면 온도 변화 없을 것. 최악 상황 대비 중”
사업자 “산자부 인가 늦어져 자금 압박. 어쩔 수 없는 상황”
충남도 “열교환기 쓰면 온도 변화 없을 것. 최악 상황 대비 중”
충남 내포신도시의 집단 에너지 공급을 책임지는 사업자가 주민들에게 ‘열 제한공급’을 통보했다. 고형폐기물연료(SRF)를 사용하는 열병합발전소 건설 논란에 따른 조처인데 ‘공급중단’까지 예고하고 있어 올 겨울 난방 대란이 우려된다.
내포 열병합발전소 민간 사업자인 내포그린에너지는 “산업통상자원부의 공사계획 승인·인가 지연으로 경영 자금이 부족해져 오는 25일부터 공급 열을 100℃에서 80℃로 낮춘다”고 21일 밝혔다. 내포그린에너지는 지난 2월20일 산자부에 발전에너지 시설에 대한 공사계획 승인·인가를 신청했다. 산자부 장관은 집단에너지사업법 시행규칙에 따라 사업자의 공사계획 승인 신청을 받으면 30일 이내에 처리해야 하지만 7개월 넘게 승인을 미루고 있다.
이로 인해 자금조달이 불가능해 이미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는 게 내포그린에너지 쪽 주장이다. 정재홍 내포그린에너지 부사장은 “출자 자본금 중 39억원만 남았다. 인건비는 물론 연료비도 부족한 상황이다. 재무 투자자와의 대출금 계약 기간이 끝나는 다음 달 중순까지 애초 사업계획대로 산자부 승인이 나지 않으면 열병합발전소 건설 중단과 함께 열 공급중단이 불가피하다”고 말했다.
내포그린에너지는 앞서 지난달 29일 “계획대로 정상적인 공사 진행이 이뤄지지 않으면 올겨울 열 공급을 제한하거나 중단할 수밖에 없다”고 충남도와 공동주택단지 등에 통보한 바 있다. 전성기 내포그린에너지 사업지원팀장은 “온도를 20℃ 낮추더라도 아직은 난방·급탕 수요가 많지 않아 소비자가 큰 차이를 느끼진 않을 것이다. 그러나 10월 말부터 난방·급탕 수요가 급증하면 불편을 느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내포그린에너지는 내포신도시 집단에너지 계획에 따라 열병합발전소 건설을 추진해왔다. 액화천연가스(LNG)와 함께 고형폐기물연료를 사용하는 계획이 알려지자 주민들이 크게 반대했다. 내포의 도시계획 밑그림을 그린 충남도는 애초 ‘사업계획에 문제없다’는 태도를 고수하다가 문재인 정부 출범 뒤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중시하자 고형폐기물연료 사용에 반대하는 쪽으로 입장을 바꿨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지난달 31일 백운규 산자부 장관을 만나 바뀐 충남도의 입장을 전달하기도 했다.
공상현 충남도 내포상생협력기획단장은 “고형폐기물연료 사용에 반대하는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 공급 열 온도를 낮춰도 소비자의 각 건물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이용해 기존 물 온도로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사용요금이 조금 올라갈 순 있다. 법적으로 공급 의무를 갖는 사업자가 열 공급을 아예 중단하지는 않을 거라 생각하지만 그런 일이 벌어지더라도 난방 대란은 오지 않도록 나름의 준비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예린 기자 floy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