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붉은독개미’의 확산을 막기 위해 땅파기 작업 등 방제 작업을 벌이고 있다. 붉은독개미는 맹독성을 품고 있어 이른바 ‘살인 개미’로 불린다.
부산항만공사는 3일 “정부 긴급대책회의 결과, 붉은독개미 최초 발견 지점인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땅파기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항만공사는 이날 오전 10시께 붉은독개미 최초 발견 지점 근처의 컨테이너를 옮긴 뒤 농림축산검역본부와 회의를 거쳐 굴착기를 이용해 땅파기 작업에 나섰다. 땅파기 작업은 붉은독개미 발견 지점을 중심으로 반지름 3~5m, 깊이 3~5m 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정부 등은 이번 땅파기 작업을 통해 붉은독개미 추가 유입 여부 확인과 붉은독개미의 여왕개미를 찾고 있다.
붉은독개미는 지난달 28일 감만부두 컨테이너 야적장의 아스팔트 바닥에서 발견됐다. 이어 정부 등은 지난달 29일 같은 곳에서 붉은독개미 1000여마리가 있는 개미집을 발견해 제거했다. 하지만, 붉은독개미의 여왕개미는 발견되지 않았다. 정부는 감만부두 주변 지역으로 붉은독개미가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한 방제 작업을 벌이고, 관련 부처와 함께 합동조사 및 독개미 유입 방지를 위한 공동 대응을 추진하고 있다.
붉은독개미는 강한 독성물질을 지니고 있어 침에 찔릴 경우 심한 통증과 가려움증을 불러일으킨다. 심할 경우 현기증과 호흡곤란 증상도 나타난다. 북미에서는 한 해 평균 8만여명이 붉은독개미에 쏘이고, 이 가운데 일부가 사망해 살인 개미로도 불린다. 부산/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