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5·6호기 백지화시민행동 회원들을 비롯한 탈핵단체 회원들이 10일 오전 부산시청 앞에서 신고리 5·6호기 부산∼서울 봉송 기자회견을 열고 구호를 외치고 있다. 서울에 거주하는 탈핵단체 소속 회원들은 이날부터 자전거와 차량을 이용해 4박 5일간 전국을 순회하며 부산에서 서울까지 신고리 5·6호기 모형을 옮긴다. 이들은 "수도권의 전력사용을 위해 부울경 시민들을 희생시키는 비상식적 전력정책을 중단하라"며 "전력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울에서도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반대한다면 전국 어디서도 원전을 지을 수 있는 곳은 없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반핵단체들이 신고리 5·6호기 건설중단을 호소하는 뜻에서 핵발전소 모형을 부산에서 서울까지 보내는 퍼포먼스에 나섰다.
탈핵부산시민연대와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 등 반핵단체는 10일 부산시청 앞 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신고리 5·6호기 건설은 수도권 전력공급을 위해 부·울·경 주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비상식적 전력정책이다. 신고리 5·6호기 건설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들 단체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찬성론자들은 핵발전소가 안전하며, 친환경·경제적 발전소라고 말한다. 또 핵발전소로 지자체 재정문제 해결, 일자리 창출 등 효과가 있다고 한다. 그들의 주장처럼 핵발전소가 안전하고 부대 효과도 좋다면,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가 집중되는 서울에 핵발전소를 지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서울은 핵발전소 냉각수로 사용할 물이 충분하고, 고리원전과 달리 활성 단층도 없어 지질학적 안전성까지 가지고 있어 핵발전소 건설에 충분한 환경을 갖췄다. 만약 서울에 핵발전소 건설이 안 된다면, 우리나라 어느 지역에서도 안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들 단체는 또 “신고리 5·6호기 공론화위원회 시민참여단에는 핵발전소와 거리가 먼 서울·경기 지역 시민이 절반에 이른다. 공론화위원회는 부·울·경이 신고리 5·6호기 건설에 따른 직접적 영향 지역이라는 인식도 하지 않은 셈이다. 또 신고리 5·6호기의 설계수명이 60년인데, 시민참여단의 젊은층 비중도 작다. 시민참여단의 구성부터 잘못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 단체는 기자회견 뒤 ‘신고리 5·6호기 모형 부산~서울 봉송’ 퍼포먼스를 시작했다. 이들 단체는 신고리 5·6호기 모형을 자전거에 싣고 이동해 11일 울산시청, 12일 경북 경주시청, 13일 대전시청에서 각각 기자회견을 연 뒤 14일 서울 종로구 종각역에 도착해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 촉구 집중행동을 벌일 예정이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