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 회원들은 16일 울산시청 앞에서 정부에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108배를 하고 20일까지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신동명 기자
신고리 5·6호기 영구 공사중단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공론화 과정이 20일 공론화위원회의 권고안 제출과 정부의 최후 결정을 남겨놓은 가운데 울산지역 210개 단체가 참여하는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가 정부에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108배를 하고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는 16일 울산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공론화 과정은 우리 쪽이 제출한 자료집 사전 누출과 정보 빼가기, 객관적 검증을 위한 전문위원 자리에 대표적 찬핵 인사 참여, 당사지역 배분과 미래세대에 대한 불균등성 등 여러 문제를 남긴 채 막을 내렸다. 이제 공론화위원회는 지역비례 불균형 문제 제기에 통계적인 보정방법을 통한 해결을 약속했기에, 꼼수가 아니라 공론이란 관점에서 진정성 있게 공개적으로 해결하기를 강력히 요청한다. 정부는 결정에 앞서 권고안에 대해 왜곡된 지형이 낳은 결과물들에 대한 옥석 가림과 취사선택을 거치고 기존에 선언한 ‘탈핵시대’와 연결하기 위해 매서운 매의 눈으로 확인하길 강력히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운동본부 회원들은 회견 뒤 정부에 신고리 5·6호기 건설 백지화 선언과 핵발전소 최인접지역 주민 피해대책 등을 촉구하는 108배를 하고, 20일까지 울산시청 앞에서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이들은 “우리는 기울어진 운동장 조건이지만 탈핵세상을 여는 데 최대한 매진했고, 마지막 결정을 앞두고 우리의 목소리를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고 문재인 정부가 자신의 탈핵선언을 성실히 지킬 것을 촉구하기 위해 서울과 울산에서 농성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울산시민운동본부와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부산시민운동본부, 안전한 세상을 위한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시민행동, 밀양할매할배들의 탈탈원정대 등 단체들은 이날 서울 청계광장 공론화위원회 사무실 근처에서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연좌농성에 들어갔다.
신동명 기자
tms13@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