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전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위원들이 경북대 국정감사를 위해 대구 북구 경북대 글로벌플라자 경하홀로 들어가고 있다.
23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경북대 국정감사에서 박근혜 정부의 ‘국립대 총장 선출 개입’ 의혹이 터져 나왔다. 일부 학생과 교수들은 국감이 열리는 경북대 글로벌플라자 경하홀 앞에서 “2순위 총장을 인정할 수 없다”며 시위를 벌였다.
의혹은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집중 제기했다. 안민석 의원(경기도 오산시)은 “청와대가 국립대 총장 선거에 개입한 근거가 끊임없이 나오고 있다. 경북대 총장 순위가 뒤바뀌는 과정에서 꼼수가 있었다고 의심할 수밖에 없다. 총장 임용후보자 선정관리위원회가 1·2순위 후보를 정해 대학본부에 올렸는데, 대학본부는 순위를 삭제해 교육부에 보냈다”고 지적했다.
오영훈 의원(제주 제주시을)은 “총장 2순위 임용에 청와대가 개입한 사실이 드러났다. 총장 임명까지 진행한 절차에서 관련 문서를 위조·조작했거나 허위 보고가 있었는지 교육부 감사에서 확인해야 한다”고 요구했다. 김한정 의원(경기 남양주시을)은 김상동 경북대 총장에게 “안종범 전 수석 등을 만났느냐”고 추궁했다. 김병욱 의원(경기 성남시분당구을)은 “청와대나 교육부와 접촉한 적이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김 총장은 “(나는) 구성원에게 정통성을 인정받고 있다. 안 전 수석을 알지도 못하고 만난 적도 없다. 최경환 의원은 공식 석상에서 한번 만났다. 총장 선임과 관련해 협의한 적은 없다”고 답변했다. 박근혜 정부에서 청와대 민정수석을 지낸 곽상도 자유한국당 의원(대구 중남구)은 “김 총장이 정치 커넥션으로 임명된 것이라는 말이 있는데 그런 일 전혀 없죠?”라고 묻기도 했다.
이날 일부 학생과 교수 20여명은 경하홀 앞에서 ‘위법적 총장 임용, 반민주적 대학 농단’이라고 적힌 펼침막을 걸었다. 또 “경북대 자율성 짓밟은 교육부 1순위 후보 임명 거부 이유 밝혀라”, “헌법 제31조 대학의 자율성은 정권이 법과 헌법을 어겨가며 대학의 독립성을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라고 적은 손팻말을 들고 항의 시위를 했다.
경북대는 2014년 10월 총장 선거를 통해 김사열(61) 생명과학부 교수와 김상동(58) 수학과 교수를 각각 총장 임용후보자 1·2순위로 교육부에 추천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임용 제청을 2년 동안 하지 않다가 무순위로 재추천을 받았다. 이어 박근혜 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2순위인 김상동 교수를 총장에 임용했다. 최근 들어서는 박 전 대통령의 청와대가 경북대 등 국립대 총장 선출 과정에서 노골적으로 개입한 청와대 문건이 잇따라 나와 논란이 일고 있다.
글·사진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