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구리시가 남양주시와 함께 사노동·퇴계원 일대에 조성하겠다고 발표한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예상 조감도. 구리시 제공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후보지 선정을 앞두고 경기도 양주시와 구리·남양주시가 치열한 각축전을 벌이고 있다. 의정부시를 포함한 네 지자체는 지난 9월말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유치 신청서를 경기도에 제출했다.
1일 경기도와 각 시의 설명을 들어보면, 경기북부 테크노밸리에 가장 의욕을 보이는 곳은 양주시와 구리시다. 지난해 1차 테크노밸리 유치에 실패한 양주시는 역 주변 개발 구역과 가까운 마전동 일대 30만㎡를 후보지로 정하고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양주시는 지난 5월 테크노밸리유치위원회를 꾸리고 서명운동에 나서 13만1204명의 서명을 받는 등 가장 먼저 유치전에 뛰어들었다. 8월 경기인천기계공업협동조합, ㈜삼연기연을 시작으로 30여 기업·대학·기관과 테크노밸리 입주 협약을 맺었다. 이성호 양주시장은 “양주는 양주역, 국도3호선, 구리~양주~포천 고속도로 등 교통망과 옥정새도시 개발로 좋은 주거환경, 전통제조업과 뿌리기술산업 등 최고의 입지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성호(오른쪽) 경기도 양주시장과 장양순 ㈜가온테크 대표가 지난 31일 양주시청에서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입주 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양주시 제공
지난해 1차에서 탈락한 구리시는 남양주시와 손잡고 재도전에 나섰다. 구리와 남양주는 두 시의 경계인 사노동과 퇴계원 30만㎡를 사업지로 제시했다. 구리시는 서울 도심· 강남으로의 접근성이 좋아 전문 인력 확보가 쉽고 서울 통근이 유리하며 기업의 선호도에서도 우위라고 주장한다. 두 도시는 또 서울외곽순환로와 구리~포천 고속도로, 국도 43호선, 경춘선, 지하철 8호선 등 광역 교통망과 갈매·별내·다산 새도시 등 풍부한 배후도시를 장점으로 내세운다. 구리·남양주는 예상되는 사업비 1710억원 가운데 49%를 부담하겠다고 제안했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구리·남양주는 중첩된 규제로 90만명의 인구에도 제대로 된 산업단지조차 없어 베드타운이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일자리 넘치는 도시가 되기 위한 유일한 대안이 테크노밸리 유치”라고 강조했다.
이밖에 의정부시도 녹양동 우정마을 30만㎡를 테크노밸리 후보지로 제안했지만 다른 후보지에 비해 경쟁력이 떨어지고 유치 활동도 소극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기도는 현지 조사와 전문가 자문, 공개 평가 등을 거쳐 오는 13일께 후보지를 결정할 방침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