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1일 경기도청 북부청사에서 ‘2017년 경기도 무기계약근로자 전환심의위원회’를 열어, 내년부터 기간제 노동자 등 306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경기도 소속 기간제 노동자 등 비정규직 306명이 내년 1월부터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된다.
경기도는 정부의 ‘공공부문 정규직화 가이드라인’에 따라 기간제 노동자 306명의 정규직 전환을 결정했다고 2일 밝혔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는 경기도 소속 기간제 노동자 220명과 119소방안전센터 등에서 자체 고용한 급식 조리인력 86명이다. 이들은 연중 9개월 이상 상시·지속 업무를 하면서 향후 2년 이상 같은 업무를 계속할 것으로 예상되는 노동자다. 60살 이상 고령자와 일시적, 간헐적 업무에 종사하는 노동자, 휴직 대체인력 등은 정규직 전환 대상에서 제외됐다. 다만 고령자가 많이 일하는 청소·경비직 노동자는 정년을 만 65살로 연장해 노동자 50여 명이 추가로 정규직으로 전환되도록 조처할 방침이다. 파견·용역 등 간접고용 형태 노동자는 노동자 대표가 포함된 ‘노·사·전문가 협의회’에서 충분한 논의 과정을 거쳐 전환할 예정이다.
경기도는 정규직 전환 대상에서 제외된 기간제 노동자의 처우 개선을 위해 명절휴가비, 복지포인트 등 지급 기준을 완화해 내년부터 시행한다. 김동근 행정2부지사는 “비정규직 사전심사제를 강화해 상시·지속적 업무는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관행이 정착되도록 하겠다. 또 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환경 개선과 지속 가능하고 합리적인 임금체계 도입을 위해 선도적인 정책을 발굴해 추진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2019년까지 도와 산하 3개 공기업, 21개 출자·출연기관 비정규직 1265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할 방침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