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오후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열린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사업지 선정에서 양주시와 구리·남양주시 등 경쟁 후보지가 모두 선정된 뒤 해당지역 단체장 등이 환호하고 있다. 구리시 제공
산업 인프라가 취약한 접경지역인 경기북부에 사업비 1조1천억원 규모의 첨단산업단지 3개가 동시에 조성돼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해 고양시에 이어 13일 양주, 구리·남양주시 등 테크노밸리 유치가 확정된 경기북부 지자체들은 첨단산업단지가 조성되면 경기북부지역에 활력을 불어넣는 획기적인 변화의 바람이 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난 13일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사업지로 선정된 양주시는 남방동·마전동 일대 55만5천여㎡에 2635억원을 들여 섬유·패션, 전기·전자 업종 중심의 첨단산업단지로 조성한다. 양주시가 40% 지분을 참여해 도시개발사업과 산업단지개발사업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202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성호 양주시장은 14일 기자간담회에서 “테크노밸리 조성을 통해 2만3천여명의 일자리를 만들고 1조8759억원의 직접적 경제효과를 창출하는 등 지역경제 활성화를 통해 경기북부의 진정한 중심도시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경쟁 후보지였던 구리·남양주시에도 테크노밸리가 조성된다. 구리시 사노동 일대 21만9천여㎡와 인접한 남양주시 퇴계원 일대 7만2천여㎡ 등29만2천여㎡가 대상지다. 구리도시공사와 남양주도시공사가 공동으로 49% 지분으로 참여해 도시개발사업을 진행한다. 2026년까지 지식산업과 주거·복합시설을 갖출 계획이다. 백경현 구리시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열어 “후보지 주변 갈매새도시와 갈매역세권 개발사업, 다산새도시와 양정역세권 복합단지 조성사업과 함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난해부터 테크노밸리 조성 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고양시는 일산서구 79만6천여㎡에 2023년까지 6800억원을 들여 4차 산업혁명시대 미래산업 수요를 창출하는 신산업 플랫폼을 조성할 계획이다. 현재 실시계획 승인을 위한 사업 타당성 검토 용역을 의뢰한 상태다. 고양시는 내년 7월까지 지구 지정과 개발계획 승인을 받은 뒤 실시계획 승인을 거쳐 2019년 기업이 입주하도록 할 방침이다.
경기도 구리·남양주 시민들이 지난 13일 경기북부 2차 테크노밸리 유치에 성공한 뒤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구리시 제공
경기북부는 접경지역인데다 수도권정비계획법 등 각종 규제로 인구는 급증하고 있지만 산업적 낙후성을 면치 못했다. 미군이 떠나며 기대를 걸었던 반환 미군기지 개발사업은 10여 년째 성과가 미진하다. 경기북부 지자체들이 사활을 걸고 테크노밸리 유치에 나선 것도 부족한 산업 인프라를 갖춰 첨단도시 기반을 갖추기 위해서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입지가 열악한 경기북부에 3개 테크노밸리가 동시에 진행돼 자칫 미분양으로 인한 부진 우려도 나오고 있다. 문미성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테크노밸리 조성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낮은 분양가와 지식재산 혁신환경 조성 등 기업의 욕구를 충족시킬 차별화된 전략이 필수”라고 밝혔다.
한편, 경기도는 13일 오후 판교 경기창조경제혁신센터에서 경기도의 정보통신(IT)·바이오(BT)·문화(CT)·나노(NT) 중심의 6·7번째 첨단 산업단지인 ‘경기 북부 2차 테크노밸리’ 조성 사업지로 양주시와 구리·남양주시 등 2곳 경쟁 후보지를 모두 선정했다. 지난해 6월 1차 사업지구로 선정된 고양시와 함께 경기북부 테크노밸리 3개에 총 사업비 1조1146억원이 투입된다. 경기도의 테크노밸리는 현재 수원 광교와 판교테크노밸리 조성이 완료돼 상당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광명·시흥, 판교제로시티 등 2곳이 더 추진 중이다.
박경만 기자
mani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