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트하우스’ 운영 의혹이 제기된 충북교육청 제주수련원.충북교육청 제공
충북도의회 이종욱(44·자유한국당·비례) 의원과 자유한국당이 ‘교육청 펜트하우스’로 명명한 충북교육청 제주수련원 비공개 객실은 자유한국당 소속 도의원도 이용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수련원은 지난 2014년 지방선거 때 한나라당(자유한국당 전신) 후보로 충북지사 선거에 나서기도 했던 이기용(72) 전 교육감 때 개원했으며, 이 때 설치된 ‘펜트하우스’(비공개 객실)를 이 전 교육감도 이용했다. 이 전 교육감은 지난 2014년 2월 11일 제주수련원에 들러 다음 날 개원식에 참석했다. 충북교육청 한 직원은 “이 전 교육감이 들러 이 방을 이용했다. 제주수련원을 잘 지었다고 칭찬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종욱 의원이 지난 21일 충북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제주수련원 비공개 객실 운영 실태를 지적하고 있다.충북도의회 제공
충북도의회 교육위원회 소속 이 의원은 지난 21일 충북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교육청이 교육감과 측근을 위한 수련원 비공개 객실 펜트하우스를 운영하고 있다. 이곳을 리모델링해 3~4개의 일반 객실로 전환하면 연간 4000~5000명 이상이 이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김병우 교육감이 지난 7월 29~8월 4일 사용료 없이 사용한 것은 법을 어긴 특혜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에 대해 류정섭 충북교육청 부교육감은 “이 객실은 숨겨왔던 것이 아니라 장기행사 지원, 프로그램 운영강사 숙소, 간부공무원 긴급 출장 등 용도로 사용됐다. 관행적으로 해 오던 부분”이라고 답했다. 제주교육원 쪽도 “이곳은 펜트하우스가 아니며, 김 교육감은 당시 31일 기관 업무협약 등 일정을 소화한 뒤 휴가를 병행했다. 법을 어긴 것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하지만 자유한국당 충북도당은 지난 22일 성명을 내어 “김병우 교육감과 교육청 간부들이 대천·제주 수련원을 무료로 특혜 이용했다. 숙박 대장도 미기재하고 펜트하우스를 3년간 이용했다”고 한 발 더 나갔다.
이기용 전 충북교육감(왼쪽 일곱째)과 충북도의회 의원 등이 지난 2014년 2월 제주수련원 개원 기념 식수를 하고 있다.충북교육청 제공
이 의원과 한국당이 제기한 ‘펜트하우스’는 2014년 2월에 개원 당시 만들어진 공간이다. 충북교육청은 당시 제주 애월읍 곽지리 7934㎡에 제주수련원을 설립했다. 이 전 교육감의 숙원 사업이기도 했다. 수련원은 생활관(54㎡·10인) 19실, 콘도 4인실(33㎡) 10실, 6인실(40㎡) 6실 등을 갖췄다. 하루 이용 요금이 학생 1천원, 교직원 등은 2만~4만원으로 싸 인기를 끌고 있다.
문제의 ‘펜트하우스’는 80㎡ 규모의 2실이다. 물론 이 전 교육감 때 설치됐다. 이곳엔 식탁·의자 세트(159만5천원), 소파(141만9천원)·침대(111만2천원)·텔레비전(73만9천원) 등이 비치돼 있다. 제주수련원 관계자는 “2014년 2월 개원 당시 설치한 것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 펜트하우스라는 지적은 과한 듯하다”고 밝혔다.
실제 이 방은 지난해 6월 충북도의회 자유한국당 소속 의원도 무료로 이용했으며, 같은 해 2월엔 충북교육청 직원들이 직원 연수 때 이용하고 6만원을 지불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방뿐 아니라 제주수련원은 충북도의회 의원들이 수시로 이용한 것도 드러났다. 2014년 3명, 2015년 6명, 2016년 4명, 올해 4명 등이 이용했다. 한국당 소속 한 의원은 ‘펜트하우스’를 무료 이용하는 등 모두 8차례 제주수련원을 이용했다.
제주수련원은 전·현 교직원과 가족, 학생 등만 이용할 수 있다. 제주수련원 관계자는 “충청북도교육청 직속기관 및 교육지원청 소속기관 사용 등에 관한 조례의 ‘기관운영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기관의 시설·설비 일부를 교직원·기관·단체 및 지역주민에게 사용을 허가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일부 도의원도 이용하게 했다. 현실적으로 업무인지 휴가인지 일일이 구분할 순 없다”고 설명했다.
교육청은 지난 9월부터 비공개 객실 2실을 일반 객실화 하는 것을 추진하고 있다. 제주수련원 관계자는 “수련원 운용상 외부 인사 수용, 객실 사고·만실 대비 등을 위해 필요한 공간이지만 김 교육감이 일반 객실화를 지시하면서 공개 절차를 밟고 있다. 교육감 등 개인을 위한 공간이 아닌데 과장돼 안타깝다”고 말했다.오윤주 기자
st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