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미화원들이 생활 쓰레기를 청소차에 싣고 있다. 한겨레 자료 사진
가정 음식물 쓰레기 등을 수거해 처리하는 가정환경 미화원(청소원) 사망사고가 또 발생했다. 자치단체가 가정환경 미화원들도 직접 고용하는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사고를 막는 지름길이라는 지적이 높다.
29일 낮 12시16분께 광주시 남구 양과동의 한 도로에서 가정환경 미화원 노아무개(57)씨가 생활폐기물 수집차량 덮개에 몸이 끼여 중상을 입고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사망했다. 경찰은 차량 운전자(48)가 차량 뒤쪽에서 쓰레기를 배출하고 노씨를 미처 발견하지 못해 사고가 난 것으로 보고 조사중이다. 노씨는 광주 서구에서 위탁받은 용역업체 소속이다. 이번 사고는 지난 16일 남구 용역업체 소속 노동자 서아무개(59)씨가 새벽에 일하다가 수거차 차량에 치여 숨진 지 13일 만에 또다시 발생했다.
서씨 사망사고가 난 뒤 광주시는 지난 24일 구와 용역업체, 노조 관계자들과 함께 간담회를 열어 대책을 논의했다. 시는 양과동 광역위생매립장 마감시간을 오후 3시에서 오후 6시로 연장하기로 했다. 하지만 환경미화원들이 새벽 5시부터 일하는 노동 조건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과 관련해, “현장 미화원들이 원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건의 사항에서 제외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청소차 사고를 막으려면 작업자 안전교육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환경미화원 사고를 예방하려면 생활쓰레기 처리업무를 위탁해온 관리방식을 직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용역회사 소속인 환경미화원들은 인원에 견줘 업무가 과다해 시간에 쫓겨 안전사고 위험에 노출돼 있기 때문이다. 광주 5개구에서 일하는 가로 환경미화원(301명)은 공무직이지만, 가정환경 미화원 551명 중 광산구 154명만 시설관리공단(협동조합 포함) 직원일 뿐이다. 광산구는 2015년 7월부터 광산구시설관리공단에서 가정환경 미화원들을 직접 채용한 뒤 지금까지 단 1건의 사망사고도 발생하지 않았다. 일본처럼 청소차 차량 전진과 후진 때엔 유도작업자를 배치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 나경채 정의당 광주시당 대변인은 “전문가들을 통해 미화원들의 인원과 작업시간, 차량 안전성 문제를 파악한 뒤 종합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