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오후 대구 북구 경북대에 교수회를 비판하는 직원협의회와 총학생회 등의 펼침막이 내걸렸다. 펼침막에는 “총장 직선제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을 교수회와 합의한 적 없다”는 내용이 적혀 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
경북대 교수회가 총장 직선제를 부활시키면서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을 교수 80% 등으로 정해 논란이 일고 있다. 교수회는 “직원협의회·총학생회와 합의한 것”이라고 밝혔지만, 직원협의회와 총학생회는 “합의한 적 없다”며 반발했다.
29일 경북대 쪽의 말을 종합하면, 교수회는 지난 23일 평회의를 열어 ‘경북대 총장 임용 후보자 선정 규정(안)’을 의결했다. 규정안에는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이 교수 80%, 직원 15%, 학생 4%, 기타 1%로 배정돼 있다. 이 규정안은 ‘총학장 선정 규정 개선을 위한 특별위원회’가 마련한 것이다. 교수회는 “직원협의회와 총학생회 대표와 협의를 통해 최종 합의했다”고 밝혔다. 경북대는 조만간 이 규정안 제정·공표 절차를 밟기로 했다.
하지만 직원협의회와 총학생회는 교수회와 합의한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교수회는 지난 22일 직원협의회와 총학생회 쪽을 따로 불러 이런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총학생회 쪽은 “학생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을 처음에 33.3%로 요구했다가 나중에 10%를 제시했다. 교수회가 일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을 뿐인데 합의된 것처럼 발표해 황당하다”고 말했다. 직원협의회 쪽도 “교수와 직원 모두 총장 선거에서 1인 1표를 행사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교수회의 안은 우리가 합의한 적이 없다”고 했다.
경북대의 전임교원(교수)은 모두 1160여명이다. 조교를 제외한 직원은 교수의 절반이 조금 안 되는 470여명이다. 재학생은 2만9270여명, 비정규직 교수는 810여명이다. 과거 총장 직선제에서는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이 교수 88%, 직원 10%, 학생 2%였다.
교수회 의장을 맡고 있는 윤재석 사학과 교수는 “(직장협의회·총학생회와) 협의를 했다. 이번 규정안 마련은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 문제보다는 총장 직선제를 다시 부활한다는 의미가 크다. 반영비율은 직선제를 우선 도입한 이후에 충분히 다시 협의해서 조정할 수 있는 문제로 본다. 이번에 교수의 선거인 득표 반영비율을 과거보다 낮췄고, 거점 국공립대 중 직원과 학생의 반영 비율이 가장 높다”고 말했다.
경북대는 2014년 3월 교육부의 압박으로 총장 직선제를 폐지했다. 이어 그해 10월 간선제로 총장 선거를 치러 김사열(1순위)·김상동(2순위) 교수를 교육부에 추천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아무런 이유 없이 임용 제청을 거부해 총장 공석 사태가 이어졌다. 교수회와 대학본부는 교육부와 협의를 통해 지난해 8월 김사열·김상동 교수를 무순위로 재추천했다. 당시 박근혜 대통령은 교육부가 임용 제청을 한 두 후보 중 2순위였던 김상동 교수를 총장에 임용했다. 김일우 기자
cool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