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이 있는 부산 중구 마린센터 건물.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 제공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 산하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해상노련), 전국수산산업노동조합연맹(수산연맹), 전국상선선원노동조합연맹(상선연맹)이 ‘전국선원노동조합연맹’으로 뭉친다.
해상노련은 “최근 상선연맹과 신설·합병계약 조인식을 열어 전국선원노조연맹이라는 이름으로 합병하기로 합의했다”고 6일 밝혔다. 이들 연맹은 상임부위원장 제도 신설을 포함한 지도부 구성과 대의원 및 중앙위원 배정기준 마련, 제도개선 등에 최종 합의했다. 이들 연맹은 이달 말까지 임시대의원대회를 열어 합병 결의를 끝내고, 내년 1월 합병대의원대회를 통해 신설연맹을 출범시키기로 했다.
단일 선원노조연맹이었던 해상노련은 지난 2014년 28대 해상노련 위원장 선거를 치른 뒤 선거 과정의 갈등과 앙금으로 해상노련, 수산연맹, 상선연맹 등 3개 연맹으로 쪼개졌다. 이후 3개 연맹은 사용자와 정부에 노동 권익을 요구해 관철하기 위해선 하나의 힘 있는 연맹이 보다 효율적이라는 데 공감하고 통합에 고심했다. 각 연맹에 대한 이해와 지도부 체제 구성 등 연맹 사이의 여전한 갈등으로 통합이 순탄하진 않았지만, 지난 6월 해상노련과 수산연맹이 극적으로 통합절차를 마쳤다. 이어 해상노련과 상선연맹도 통합에 합의했다. 57개 단위 노조를 포괄하는 하나의 연맹이 다시 만들어진 것이다.
해상노련의 한 관계자는 “분열된 상황에서 급변하는 해운·수산산업 상황에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고 판단했다. 3개 연맹으로 갈라지는 초유의 사태가 일어난 지 3년 만에 다시 단일 연맹으로 거듭나기 위한 발걸음을 내디딘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